-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 북하우스 / 2024년 12월
평점 :
인간의 작은 발걸음과 보폭으로는 그 태어난 고향으로부터도 몇 걸음 떼지 못할 듯하지만, 문명 발생 이래 수천 년 동안 모험심 강한 선구자들의 노력 덕분에 이 지표의 구석구석에 이미 사람의 자취가 닿지 않은 곳이 없다시피합니다. 때로 무모해 보이는 이런 시도 덕분에 여태 얼마나 많은 이들이 목숨을 잃었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그런 시쉬포스의 몸부림이 쌓이고 쌓여 오늘날의 눈부신 문명과 기술 발전이 이뤄졌으며, 우리 후손들이 조금이라도 더 편한 세상에서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살게 될 것입니다.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솔직하게, 주관적으로 작성한 후기입니다)
저자 배리 로페즈는 예전 한국식 표현에 따르자면 역마살이 낀 생을 산다고 해도 틀리지 않을 만큼 지구 곳곳을 누비고 다니신 분입니다. 왜 이렇게, 편안한 한 장소에의 안거(安居)를 거부하고 호모 비아토르의 삶을 자처하여 고생을 감수했을까요? 답은 책 서두에 나옵니다. "어딘가 부서져 있는 지구의 한 구석을 감지했기 때문에." 그 고장은, 파손은 누가 초래했을까요? 죄 많은 우리들이 유발했을 수도 있고, 아니면 그 지형이 발생했을 당시부터 뭔가 모순, 불안정을 갖고 태어났을 수도 있습니다. 만약 후자라면 우리가 즉시 그에 닿아 지구를, 자연을 도와야 합니다. 전자라면? 대체 인간이 환경 오염과 파괴라는 업보를 어떻게 씻으려고 그런 짓을 저질렀겠습니까. 한치의 머뭇댐도 없이 발을 떼어 그 더럽힘을, 손상됨을 도로 온전히 깨끗이 만들어야 합니다. 배리 로페즈 선생의 별난 소명과 의무감은 아마도 이 비슷한 동기에서 싹텄을 것입니다.
파울웨더 곶을 답사한 p164 등의 기록에서 저자는 모스키토 해안을 거론합니다. 로마자 철자로도 그렇고 누구라도 저 이름으로부터 아, 이 중앙아메리카 동부에는 모기가 많은가 보다 하고 성급한 결론을 내릴 것입니다. 그러나 해당 페이지 본문에 저자께서 버젓이 별개의 설명을 달아 놓은 것처럼, 이 이름은 모기와는 아무 관계 없고(철자는 모기입니다만), 그저 선주민의 이름에서 따 왔을 뿐입니다. 하지만 이 무심한 21세기, 백인 침략자들이 얼기설기 이룬 문명의 끝자락을 불들고 사는 후예들은 그저 생각한다는 게 극성스러운 곤충일 뿐인데, 저자는 우리 독자들에게 맹성을 촉구하려는 의도였는지도 모릅니다. "단 한 번이라도 수 천 년 전, 이 땅에 먼저 밭을 일구고 산, 피부 검은 선배들의 노고를 생각해 본 적 있느냐?"
요즘 트럼프 당선인이 덴마크 등으로부터 그린란드를 앗으려는 시도와 발언으로 시끌시끌합니다. 극지방에는 그처럼 외쿠메네에서 좀처럼 볼 수 없는 자원, 또 기초과학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인 현상과 물질의 기이한 집적으로 가치가 높습니다. 스클랠링 섬을 아는 이들도 드물고 심지어 인터넷에서 찾아도 지금 저자가 답사하고 논의하는 곳과 직접 관계 없는 정보만 잔뜩 나올 텐데, 여기는 누나부트라는 캐나다의 한 준주(Territory) 소속 무인도를 가리킵니다. 저자는 한 소설을 읽다 영감을 받아서 바로 이곳으로 떠나게 되었다고 밝히는데 이 두꺼운 논픽션집에 실린 대부분의 여행기가 이런 식입니다. 그저 놀랍고 존경스럽다는 말밖에 할 게 없습니다. 이곳은 북반구의 끝에 가깝지만 p284 같은 곳에서 저자는 남극 간섭계 실험 등의 화제를 언급합니다. 그 예전 피어리나 아문센 등도 과학자나 전문 기술인들을 대동하고 소중한 증거, 물질, 데이터를 채집하여 기초과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는데, 이런 지역에서는 중성미자, 뮤온, 체렌코프 광자 등의 검출이 더욱 용이하다고 합니다.
오지에 떨어져있다고 해서 한결같이 생태와 진화의 예외적 기적이 펼쳐지는 건 아닌데 유독 갈라파고스는 그런 놀라운 광경이 펼쳐져 과학자들을 놀라게 하는 지역입니다. 그 중 푸에르토아요라라는 곳에서 저자는 지느러미 없는 상어의 시신 수십 구를 봅니다. 아무리 갈라파고스에서 기적이 벌어졌다 한들 어류가 지느러미 없이 진화했을 리는 없고, 사람들이 상어로부터 돈이 되는 부위만 뽑은 후 바다에 내다버린 흔적입니다. 지느러미 없이 떼로 죽은 상어들을 보며 로페즈 선생과 그의 동료들은 어떤 생각이 들었을까요? p413에서 바다사자들은 한때 거세게 로페즈 선생의 일행에게 저항하지만 곧 체념합니다. 이 활달하고 무서운 야생의 생명체가 그토록 빨리 "항복"을 배웠다는 사실부터가 벌써 슬픕니다.
자칼 캠프에서 저자는 인간의 아득한 기원을 탐색하며 깊은 상념에 젖어듭니다. 인간은 대체 어디에서 비롯하여 어디까지 가지를 치다 여기까지 왔을까? p504에 그려진 인간의 진화 계통도는 마치 번잡하게 새끼를 친 나뭇가지처럼도 보입니다. 로페즈 선생은 물리적 세계뿐 아니라 사색의 공간에서도 어느 한 지점에 안주하시기를 거부하고 올바른 스팟을 찾아 떠납니다. 만약 그가 올바른 지점을 찾았다면? 그는 이제 더 올바른 지점을 또 찾아 채 마르지도 않은 땀을 훔치며 또 여장을 꾸릴 것입니다.
p636에는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서 보타니베이의 여정에 이르는 저자의 눈물겨운 흔적 그 일부가 서술됩니다. 참, 이 대목에서 저자는 솔직한 자신의 심경 일단을 드러내는데, 지금까지 지구 곳곳을 누비며 선주민들의 후예를 무수히 만났지만 단 한 번도 그들과 자신의 처지를 바꾸고 싶다는 생각은 들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그들은 그들대로 그들의 곳에서 그들만의 생각과 개성으로 꽃을 피우고, 나는 나다움을 발전시켜야 이 지구가 최상의 아름다움과 건강함을 지킨다는 소신의 피력 아니겠습니까.
p762에서 저자는 그레이브스 누나탁스 일대, 맥머도사우스 빅레이저백 섬에서 겪은 일들을 술회합니다. 누나탁이란, 남극 일대 얼음으로 덮인 뾰족한 등성이를 가리키는데 당연히 외쿠메네에 사는 평범한 우리들이 일생을 두고도 만날 일 없던 기이한 지형입니다. 다이버들과 다니며 저자는 웨들해물범이라는 위험힌 생명체와 조우하는데, 하긴 녀석의 눈엔 우리 인간들이야말로 지구 전체의 건강을 해치는 위험 요소가 아니겠습니까. 무엇이 우리 인간이 지향하고 도달해야 할 방향인지 치열하고 감동적으로 서술된, 어느 "떠도는 인간"의 열렬한 표백과 절규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