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복워킹 - 장수하고 싶다면 먹지 말고 걸어라
이시하라 유미 지음, 이근아 옮김 / 성안당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아침 출근 길에 급히 나오느라 밥을 못먹었다. 대신 <공복워킹>을 들고 나왔다.
마침 공복상태이고 전철역을 향해 걷고 있으니 딱 좋은 상태인가?
"규칙적인 배변습관을 위해서 아침을 먹는 것이 좋다."
"아침을 안 먹으면 집중력이 떨어져 일이나 공부가 잘 안된다."
"아침을 거르면 비만이나 당뇨병과 같은 생활습관병에 쉽게 걸린다."
결론은 '아침은 반드시 먹어야 한다'는 말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건강상식이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건강을 위해서 아침 단식을 권하고 있다.
아침 단식이라고 해서 아무 것도 먹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당근사과주스나 생강홍차와 같이 간단한 음료로 위부담을 줄이고 뇌에 당분 공급을 하라는 얘기다. 물론 아침 단식이 모든 사람에게 적합한 것은 아니다. 평상시에 아침을 꼭 챙겨 먹던 사람이라면 아침 대신 점심이나 저녁 단식을 시도하면 된다.
여기서 알려주는 건강법의 핵심은 '적게 먹고 많이 걸어라'는 것이다.
장수촌의 100세 이상 노인을 보면 아침 공복 상태에서 하반신의 근육을 튼튼하게 단련한다. 우리 근육의 70%는 하반신에 있어서 나이들수록 근육이 약해지며 노화가 나타나는 것이다. 근육은 우리 몸의 전체 열 생산량 중 40%나 되는 열을 생산한다. 걷기는 근육과 혈관이 한 몸이 되어 대량의 혈액을 순환시켜 하반신을 따뜻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이시하라 유미라는 작가 이름을 기억 못했는데, 그의 저서 <암도 생활습관병도 몸을 따뜻하게 하면 낫는다>를 보고 알게 됐다. 우리 몸을 따뜻하게 하는 것이 어떻게 건강과 관련이 있는지, 몸을 따뜻하게 하는 방법은 무엇인지를 알게 된 책이었다.
<공복 워킹> 역시 일맥상통하는 내용이다. 현대인들이 건강을 해치는 이유는 과식과 운동부족이며 망가진 몸을 회복하는 방법으로 공복 워킹을 제시한 것이다. 하반신을 잘 단련하면 다이어트와 노화방지 효과가 있다. 만약 걸을 시간이 없는 사람은 근력운동 중 스쿼트를 하라고 조언한다. 스쿼트는 대퇴근을 발달시키는 운동으로 다리를 구부렸다 펴는 동작이다.
예전에 헬스 트레이너가 알려준 다이어트 동작과 같은 것을 보면 특별한 운동기구 없이도 걷기와 간단한 근육운동으로 건강을 지킬 수 있을 것 같다. 이 외에도 하반신에 좋은 식품과 체온을 높이는 방법과 같이 유익한 정보를 알려준다. 참고해서 실천하면 좋을 것 같다.
아침을 굶고나서 오전 근무가 다소 힘든 것을 보면, 원래대로 아침밥은 먹는 것이 나을 것 같다. 살면서 아직까지 다이어트나 단식을 해본 적이 없는 사람이라 갑작스런 단식은 어렵고 세 끼니를 평상시보다 가볍게 먹어야겠다. 적게 먹고 많이 걸으면 몸이 따뜻해지고 건강해진다! 건강을 위한 작은 실천, 지금부터 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