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적의 시력 회복법 - 뇌를 자극해서 시력이 좋아지는 눈 운동법 47가지
나카가와 카즈히로 지음, 오나영 옮김 / 청림Life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기적의 시력회복법>을 읽다보니 그 때 알려준 눈 운동법이 시력회복에 도움이 된다는 걸 떠올리게 된 것이다.
어린 시절, 안 좋은 자세 때문에 한쪽 눈의 시력이 급격이 나빠져서 지금은 양쪽 눈의 시력이 그리 좋지 않은 상태다. 안경을 맞춰도 어지러움증이 심해서 필요한 경우에만 잠깐 쓰고 평상시에는 안 보이는 채로 견디며 살고 있다. 주변에서는 라식이나 라섹과 같은 근시교정수술을 받아서 안경을 벗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솔직히 월등히 좋아진 시력을 보면 부럽기는 하지만 선뜻 수술할 용기는 없다. 아주 가끔이지만 근시교정수술을 받은 이후에 노안이 와서 다시 시력이 떨어졌다는 사람도 있고, 수술 후유증을 겪는 사람도 있어서 겁이 난다. 아무래도 100% 안전한 수술은 없으니까.
그런데 이 책을 보니 안 하기를 잘 했다는 생각이 든다. 근시교정수술이란 각막을 평평하게 깎아내어 굴절률을 교정하는 수술이다. 근시는 먼 곳에 있는 물체의 영상이 망막 앞에 초점을 맺기 때문에 물체가 흐려보이는 것이다. 근시수술은 빛이 망막에 제대로 맺히도록 각막을 깎는 것이다. 저자의 말을 빌리자면, 수술을 받은 사람들의 대부분이 수술 전 시력으로 돌아가고, 각막혼탁의 우려도 있기 때문에 수술은 안 하는 것이 낫다고 한다. 근시교정수술과 각막교정술 렌즈로는 진정한 시력회복이 안 된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시력 회복 트레이닝을 꾸준히 한다면 시력은 반드시 회복된다고 말한다.
정말 가능할 것 같다. 지금이라도 시력이 좋아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현대인들의 안 좋은 생활습관이 근시를 유발하고 있다는 말에 공감한다. 눈을 혹사시키는 생활습관을 바꿔야 한다.
저자는 안구건조증도 혼자 쉽게 고쳤는데 그 방법을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건조한 눈이 시리다고 느낄 때까지 눈을 크게 뜨고 한 점을 응시한다. 그 후 10회 정도 눈을 깜박인다. 이 동작을 5회 반복하고 몸을 크게 펴면서 하품을 해보자. 하품을 하면 자연스럽게 눈물이 나오면서 눈이 촉촉해진다. 그 다음은 눈 앞쪽을 눌러주는 마사지를 해준다. 안구의 오목한 부분을 눌러준다. 리듬을 타면서 눈 깜빡이기를 해준다. 의식적으로 눈을 깜박여주면서 체내리듬을 되찾아간다. 눈깜박임이 잘 안 되는 사람은 눈꺼풀의 표정근을 단련시키는 훈련을 한다. 턱을 아래로 당기고 눈은 천장을 바라보며 천천히 눈을 깜박이면 아래 눈꺼풀이 당겨지면서 근력이 생긴다. 윙크는 눈 주위 근육을 자기 의지대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우좌우좌로 번갈아가면서 윙크를 10회 반복한다. 그리고 검지로 눈꼬리를 위로 잡아당기면서 천천히 눈을 깜박인다. 반대로 엄지와 검지로 눈꺼풀을 위 아래로 크게 벌려서 눈을 깜박여준다. 이러한 여러가지 방법으로 눈 주변을 자극하고 눈 주위 근육을 운동하면서 대부분의 안구건조 증상이 개선된다고 한다. 그리고 눈의 피로를 풀기 위해서 눈 부위를 샤워하거나 스팀타월을 대주고, 눈을 감은채 눈 일광욕을 해주는 것도 효과가 있다.
흔히 지금까지 근시인 사람은 안경이나 렌즈를 사용하고, 근시교정수술이 최고의 시력회복법인 줄 알고 있었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시력 회복 트레이닝이라는 놀라운 방법을 알게 됐다. 무엇보다도 이 책이 고마운 건, 근시에 대한 잘못된 지식들을 바로잡아주었다는 점이다. 누구에게나 올 수 있는 것이 근시이고, 또 누구나 나을 수 있는 것이 근시라는 것. 스무 살이 지나도 근시는 계속 진행된다는 것. 근시는 노안이 되지 않는다는 건 새빨간 거짓말. 근시의 원인은 유전보다는 생활습관이 더 크다는 것. 근시가 심해질수록 시력을 잃을 위험도 높다는 것. 근시가 안질환의 성인병이라고 하는 녹내장, 백내장, 망막박리, 황반변성의 원인이라는 것. 즉 제대로 근시를 관리하지 않으면 실명할 수 있다는 것.
무엇보다도 안과의사가 포기해도 포기하지 말라는 것이 가장 중요한 핵심이다. 스스로 눈의 피로를 줄이고 눈과 뇌가 편안해지는 재활 훈련을 꾸준히 한다면 누구나 시력회복을 할 수 있다고 하니 지금부터 실천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