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쓰러질 때마다 일어서면 그만,
이외수 지음, 정태련 그림 / 해냄 / 2014년 10월
평점 :
대수롭지 않은 안부 한마디에도 가슴 뭉클해지는 것. (109p)
이외수님의 신작, 제목을 봤을때 내 마음 같다.
근래 정태련님의 아름다운 세밀화와 어우러진 책이 여러 권 출간되었다. 책을 한 장 한 장 펼칠 때마다 예쁜 엽서를 받은 것처럼 기분이 좋아진다. 책을 읽는 것뿐 아니라 감상하는 느낌이 든다. 이번 책에는 꽃과 물고기 그림이 나온다. 그리고 향이 나는 책갈피가 수줍게 꽂혀 있다. 향기가 나는 책. 왠지 물고기마저도 살랑살랑 헤엄치고 꽃도 하늘하늘 흔들리는 것 같다.
하얀 여백이 많은 책.
그래서 좋다.
제목에서 받은 감동 그대로.
감성마을에 살고 있는 이외수님. 나도 과거에 이 분은 도인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직접 찾아가볼 용기는 없고 편지를 보낸 적이 있다. 답장은 예쁜 그림으로 받았다. 그것만으로도 행복했던 기억이 난다. 그런데 개념없이 감성마을을 관광객처럼 들이닥치는 사람이 있다고 하니 황당하다. 엄연히 사생활이 존중되어야 할 개인집에 초대받지 않은 사람들이 들어오려고 했다면 그건 불법침입죄다. 무례한 인간들.
작가는 세상을 향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이다. 그 목소리를 듣고 싶은 사람만 들으면 된다.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기 위해 떠드는 건 아첨이고 아부가 아닐까.
각박한 세상, 몹쓸 인간들, 그리고 지친 나.
쓰러질 때마다 일어서면 그만이지.
그래, 그 말만으로도 얼마나 큰 힘이 되는지. 따뜻한 말 한 마디의 위로가 필요했던 것 같다.
나이들수록 내 마음을 자꾸 숨기게 되는 것 같다. 좋으면 좋다고, 싫으면 싫다고 표현하는 게 뭐 그리 어렵다고. 시간은 흘러가는데 나는 여전히 멈춰있는 것 같아 두려운 마음이 드는 것도 자연스러운 거라고. 나는 나라서 좋다고. 세상에서 나를 응원해줄 사람은 바로 나.
이외수님의 글과 정태련님의 그림을 보면서 마음 따뜻해진다. 참으로 고맙다.
한 가지 궁금한 것이 있다.
130페이지에 적힌 '450815'라는 숫자는 무슨 의미일까.
별 쓸모없는 호기심이 발동한다. 비밀번호? 아니면 주민번호?
아, 드디어 찾았네. 이외수님의 주민번호일 수도,,, 공식 프로필에는 46년생인데, 예전에는 1년 정도 늦게 신고하는 경우도 있었으니까. 아님 말고.
188페이지에 적힌 '47900'라는 숫자는 또 뭘까. 수수께끼도 아닌 것이, 빈 여백에 숫자만 적혀 있으니 괜히 무슨 의미든 찾고 싶어진다.
20141008 오늘 이순간도 의미있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