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의 사생활 1 : 두뇌.인지편 ㅣ 아이의 사생활 시리즈 1
EBS 아이의 사생활 제작팀 지음 / 지식채널 / 201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EBS 다큐프라임 인간탐구 대기획 5부작 <아이의 사생활>이 방영된 지 벌써 5년이 지났다. 그 당시 다양한 실험을 통해 보여준 결과들은 우리 아이들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부모로서 자녀를 키우면서 겪는 여러가지 고민들을 풀어나가는 힘이 되었던 것 같다.
이번에는 <아이의 사생활>을 '두뇌, 인지 편'과 '정서 , 인성 편'으로 나누어 좀더 세밀한 내용을 담고 있는 개정판으로 출간되었다.
두뇌와 인지 편에서는 여자와 남자를 구분짓는 두뇌의 차이, 손가락 길이와 성호르몬의 관계, 아들과 딸은 다르게 키워야 하는 이유 등을 설명하고 있다. 궁극적인 목표는 우리 아이들의 무한한 가능성을 키워주자는 데 있다.
예전에는 IQ 테스트로 지능을 평가했지만 요즘은 다중지능에 주목한다. 미국 하버드 대학 교육학과 교수인 하워드 가드너는 기존의 IQ로는 인간의 광범위한 인지능력 영역을 설명할 수 없다는 점에 착안하여 여러 분야의 지능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이 1983년 발표된 다중지능 이론으로, 현재 밝혀진 지능은 언어지능, 논리수학지능, 공간지능, 신체운동지능, 음악지능, 인간친화지능, 자기이해지능, 자연친화지능 등읻. 앞으로 뇌 연구가 더 발달된다면 다양한 지능들이 밝혀질 것이다.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에서 보면, 모든 인간에게는 여덟 가지 영역의 지능이 모두 있으며, 이 중 강점을 보이는 지능이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존재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성공한 사람들의 다중지능 검사 결과를 보면 강점지능으로 한 가지 공통적인 지능이 있다고 한다. 바로 자기이해지능이다. 자기이해지능이 높은 사람은 개인의 감정에 충실하며, 자신의 몸과 정신 상태를 자기 스스로 잘 알아서 조절할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다른 사람의 평가보다는 자신의 기준에 맞는 평가를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자기이해지능이 뛰어난 사람이 성공할 수 있는 것도 주변 상황에 영향받지 않고 자신이 가고자 하는 방향에 집중하며 노력하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 아이가 자기이해지능이 높기를 바란다면 아이 스스로 목표를 정하고 노력하는 습관을 키워주어야 하는데 이때 가장 좋은 방법이 일기 쓰기라고 한다. 초등 저학년 때는 일기 쓰기가 숙제라서 억지로 쓰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소홀히 하는 것이 일기 쓰기인 것 같다. 처음부터 자신의 의지대로 일기를 쓴다면 좋겠지만 글쓰기를 싫어하는 아이라면 좀더 새로운 방법으로 일기 쓰기를 유도해야 될 것 같다. 물론 조심해야 할 부분은 싫어하는 일을 억지로 시켜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중요한 것은 아이 스스로 즐길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부모의 몫이란 사실이다.
1권의 마무리는 내 아이의 재능과 행복을 찾아주는 방법이 나와 있다. 왜 강점지능을 찾아주어야 할까? 어떻게 강점지능을 발견할까?
우선 아이가 흥미나 호기심을 느끼는 대상이 무엇인지 관찰한다. 그리고 아이를 긍정적으로 대하면서 믿어준다. "넌 할 수 있어."라고 말해준다.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는데 중요한 사람이 부모이다. 그다음은 아이 스스로 배우려는 동기를 부여해줘야 한다. 다중지능 이론을 통해 우리가 확인한 것은 적절한 환경과 자극을 제공하고, 아이의 능력을 믿어주며 격려한다면 누구나 최고의 지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아이의 강점지능을 키우는 것뿐 아니라 아이 스스로 가치 있는 삶을 주도할 수 있도록 부모로서 노력해야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