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육과 육식 - 사육동물과 인간의 불편한 동거
리처드 W. 불리엣 지음, 임옥희 옮김 / 알마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먼저 <사육과 육식>에 관한 나만의 오해와 진실을 말해야겠다.
작가에 대한 사전 정보 없이 책제목에 끌려 선택한 사람들을 위해서 필요할 것 같아서다.
신중한 독자라면 그럴 일이 거의 없겠지만 아직 초보 수준이라 그렇다.
물론 책 표지와 제목만으로 생긴 오해는 책장을 넘기는 순간 해결될 문제다. 그런데도 굳이 이 점을 짚고 넘어가는 이유는 이 책이 지닌 매력이 묻혀질 것 같아서다.
요즘 광우병과 조류독감으로 인해 육식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졌다. 이런 사회 분위기 때문에 책 제목을 보고 식생활과 환경에 관한 내용이라고 지레 짐작을 한 것이다. 그런데 이 책은 단순히 먹는 문제가 아닌 근본적인 인간과 동물의 관계에 대한 고찰을 하고 있다.
리처드 W. 불리엣은 미국의 역사학자다. 그의 전문적인 연구 분야는 동물 가축에 관한 역사 분야라고 한다. 꽤 독특한 분야여서 흥미롭게 느껴진다.
이 책은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역사가의 관점에서 ‘사육’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한다. 사육시대를 중심으로 전과 후를 나눈다. 전기사육시대는 동물이 신성시 되기도 하고 희생제물이 되기도 하는 시기다. 사육시대는 가축화된 동물을 기르고 이용하는 인간 지배적인 시기다. 후기사육시대는 현대의 모습이라고 볼 수 있다. 애완동물을 제외하면 사육되는 동물들은 우리의 삶과는 격리되어 있다. 도축을 끔찍한 폭력이나 동물학대로 여기는 사람들이 생겨나고 동물보호나 채식주의를 주장하기도 한다. 인간의 육식 소비를 위해 희생되는 동물에 대해 죄책감이나 혐오감을 갖는 것이 후기사육시대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이 동물과 다른 근본적인 차이는 무엇일까?
동물을 사육해온 역사적인 증거들은 사실을 말해줄 뿐, 확실한 답변이 되기는 어렵다. 그래서 인간과 동물을 구분하기 보다는 어떤 관계로 볼 것인지가 초점이 되는 것이다. 인류의 역사를 진화적 관점에서 볼 때 동물보다 우위라는 개념은 육식을 정당화한다. 동물을 경제적 측면으로 바라보는 것은 최근의 일이지, 과거 전기사육시대는 아니었다. 사육동물이 단순히 대상으로 전락하면서 정서적 기능을 상실한 것이다.
‘사육’이라는 개념은, 인간과 동물 관계의 변화로서 현대 사회의 섹스나 폭력 문제와 연관이 있다는 점은 충격적인 사실이다. 동물에 대한 대상화는 약자에 대한 폭력을 정당화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개선할 방법은 무엇일까?
저자가 제시한 방법은 동물에 대한 전기사육시대적인 태도를 가진 일본 문화에서 찾고 있다.
전기사육시대 사육동물의 영혼과 지속적인 접촉을 하는 샤머니즘적 입장을 일본 문화의 전통적인 면과 연관시키고 있다. 과연 그럴까? 단지 대중문화에서 보여지는 동물의 정령화를 보여주는 현상이 미래 사회에 영향을 줄 지는 확신하기 어렵다.
이미 인간과는 멀어진 동물을 어떤 관계로 인식하는가는 추상적인 일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사육과 육식>은 인간과 동물의 역사적 관계를 살펴보면서 우리의 미래를 예측하는 새로운 잣대가 되고 있다. 무엇이 옳고 그른지에 대한 논란은 접어두고 역사를 통해 다양한 시각을 배운 것 같아 유익했다.
단순히 육식에 대한 일차적 관심을 가진 독자를, 사육이라는 동물 가축화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하도록 업그레이드 시켜준 괜찮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