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또다른 40년을 준비하는 40대 인생경영 - 마흔세 살 김부장의 새로운 직업 찾기
김병숙 지음 / 미래의창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인생에서 40세를 불혹(不惑)이라 부른다. 세상일에 정신을 빼앗겨 갈팡질팡하거나 판단을 흐리는 일이 없게 되는 나이임을 뜻한다. 그러나 요즘 세상은 공자님의 가르침과는 달리 나이 40대에 갈팡질팡할 일이 많다. 직장생활을 하는 경우는 ‘사오정’(45세 정년퇴직)이란 말이 유행할 정도로 불안한 시기다. 예전이라면 가장 여유롭고 안정적인 시기일 수도 있겠지만 세상이 바뀌었다.
이 책은 마흔세 살, 김부장님이 후배에게 승진 기회를 뺏기고 좌절하다가 새로운 직업을 찾아가는 과정이 나온다. 마치 김부장님의 일기장을 보는 듯하다.
10대들에게는 아버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요,
20대들에게는 직장 구하는 데 급급하기 보다는 적성을 제대로 파악해서 후회 없는 직업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요,
30대들에게는 직장에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요,
40대들에게는 본인의 이야기라 절실한 도움이 될 것이요,
50대 이후 분들에게는 은퇴가 인생의 끝이 아니라 시작임을 깨닫는 계기가 될 것이다.
원래 의도는 40대를 위한 직업상담 프로그램으로 구성한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 김부장님의 속내가 적나라하게 표현된 글들을 보니 공감이 가면서 굳이 40대만을 위한 책은 아니란 생각이 들었다. 실감나는 김부장님의 사연을 따라가다 보니 누구나 자신의 입장에서 현재 상황을 파악하면 도움이 될 내용들이다.
어떤 현명한 부자는 20대에 성공하여 30대 중반에 은퇴한 후 행복하고 즐거운 은퇴 생활을 보낸다고 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해진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직장과 집을 오가고 있다. 만약 갑자기 해고 당하거나 회사를 그만두게 되면 방황하고 갈피를 잡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자신의 미래에 대한 준비가 없었기 때문이다.
앞으로는 평생 보장된 직장은 찾기 힘들지도 모른다. 그보다는 평생 직업을 찾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물론 사회 초년생일 때는 고소득과 안정이 보장된 직업이 최고라 여기겠지만 자신의 성향과 적성이 맞지 않으면 오래 일할 수 없다. 책에서도 누누이 강조했듯이 고령화 사회에서 일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자신과 맞지 않는 일이 싫고 힘든 것이지, 즐거운 일은 삶의 활력이 된다.
책에서 소개된 100세 생일에 퇴직한 버스 정비공 아서 윈스턴 씨 이야기를 보면 알 수 있다. 윈스턴 씨가 81년간 일할 수 있었던 비결은 술, 담배를 하지 않는 절제된 생활과 긍정적인 사고, 젊은 마음을 간직하는 것이라고 한다. 억지로 돈을 벌기 위해 하는 것이 아니라 일 자체를 즐기는 마음으로 일했기 때문이다.
‘나는 누구인가?’라는 근본적인 물음부터 자신을 제대로 알고 적합한 직업을 찾는 과정은 인생경영에 있어 기본이며 핵심이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르다고 했다. 일단 자신에게 알맞은 직업을 찾는 데 성공했다면 평생 인생의 전성기가 되지 않을까?
진정한 불혹을 꿈꿔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