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뜻밖의 이솝우화 - 예기치 못한 '깨달음'이 숨어 있는
트이로프 지음, 김정우 옮김 / 스마트비즈니스 / 2008년 7월
평점 :
이 책의 첫 장을 읽는 순간, 엄청난 의구심이 들었다.
과연 저자로 알려진 트이로프 박사에 관한 이야기가 진실일까? 거짓일까?
이 책의 출간을 책임진 로버트 짐러 교수가 오스트리아 빈에서 만났다는 정신분석가 트이로프 박사는 나중에 알고 보니 사기꾼이었고 이름도 ‘프로이트’를 거꾸로 쓴 가짜였다고 한다. 그러나 트이로프 박사가 썼다는 새로운 이솝 우화가 전문가들이 볼 때 유익하다는 평가를 받아 로버트 짐러 박사가 대신 한 권의 책으로 출간한 것이다.
이런 황당한 사연이 또 있을까?
아무튼 뭔가 껄끄러운 마음을 잠시 접어두고 책을 읽기 시작했다. 이럴 수가, 이솝 우화에 등장하는 배우들은 동일한데 대본이 엉뚱하다. 마치 트이로프 박사의 이름처럼 이솝 우화를 거꾸로 뒤집어서 만든 것 같다.
여러 편의 이야기 중 하나를 예로 들자면, <서울 쥐와 시골 쥐>에서 각자 자신의 환경에 불만을 품던 쥐들은 서로 집을 바꾼 뒤 행복하게 잘 살았다고 한다.
이 이야기의 교훈은 ‘모두가 나와 같은 건 아니다.’라는 것이다.
엉뚱한 건 사실이지만 전혀 틀린 말도 아니다. 아이들 동화라면 모르겠지만 어른들을 위한 이솝 우화라면 매우 현실적인 교훈이며 공감 가는 내용이다. 세상을 살다 보면 상식을 깨거나 황당한 경우가 비일비재하니까.
오히려 이 이야기를 활용하여 현실에서도 상황을 거꾸로 바라보는 연습을 하면 좋을 것 같다. 인생에 정답은 없다. 어떤 상황이든 유쾌한 방식으로 해석하면 유쾌해질 수 있다.
바로 <뜻밖의 이솝 우화>는 유쾌한 삶을 위한 숨겨진 깨달음이라고 할 수 있다.
몇 가지 웃기면서도 진지한 교훈을 소개하고 싶다.
l 제발 좀 몇 번 해봐서 안되면, 다시 하지 마라. <여우와 신포도>
l 제 성질 개 주면 건강에 해롭다. <해와 바람>
l 상극끼리 같이 있어봐야 서로 피곤만 할 뿐이다. <들쥐와 개구리>
이 정도면 이 책의 분위기를 대충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사람들이 지금까지 익숙하게 알고 있던 이솝 우화가 진지하게 올바른 삶을 추구하고 있다면 뜻밖의 이솝 우화는 톡톡 튀는 삶의 재미를 추구한다. 거꾸로 뒤집어 보는 일이 삶을 유쾌하게 한다면 해 볼만 하지 않겠는가?
그러나 이 책이 아이들에게도 적합하다고는 생각지 않는다. 설익은 감은 떫고 맛이 없듯이 아이들도 제 나이에 맞게 성장하길 바라기 때문이다. 순수함을 지니고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볼 줄 아는 아이가 되었으면 좋겠다. 그 다음에 세상을 알아가며 자신만의 독특한 삶의 방식을 찾았으면 좋겠다.
세상을 다양하게 바라보는 <뜻밖의 이솝 우화>를 통해 뜻밖의 즐거움을 얻은 것 같다.
기발하고 엉뚱한 이야기가 더 현실적인 것을 보면 세상은 참 신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