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를 변화시키는 유태인 부모의 대화법 - 부모의 창의적인 대화법이 자녀의 두뇌를 깨운다!
문미화 지음 / 가야북스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 습관이란 인간에게 있어 잠을 자는 것과 같다.
어린 시절이나 청소년기에 시간의 흐름이 길다고 느껴지는 것은
그 시기에는 늘 새로운 것을 대하게 되므로 자극이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중년이 지나면 일 년이 너무 빨리 지나간다고 느끼게 되는데,
이는 그들에게 너무나도 많은 습관이 쌓이고 또 쌓였기 때문이다.” - 토마스 만
이 책을 통틀어 가장 인상적인 구절이다.
부모로서 올바른 자녀 교육을 하고자 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이 바로 “습관”이라고 생각한다.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부모의 일상적인 면을 보고 배워나간다. 그래서 좋든 싫든 부모의 많은 면을 닮아간다. 습관은 하루 아침에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세상에서 가장 사랑하고 믿을 만한 부모의 언행을 통해 조금씩 아이들의 습관도 만들어지는 것이다.
자녀 교육에 관한 책을 읽을 때마다 늘 반성하는 마음으로 읽게 된다.
문제 아이 뒤에는 문제 부모가 있다는 말처럼 아이가 잘 되려면 부모가 바뀌어야 되는데 그것이 쉽지 않다. 사람은 습관의 동물인지라 반성할 때는 고치겠다고 결심하고는 어느새 습관대로 행동하게 된다.
이 책은 유태인 교육법의 핵심인 대화법을 알려준다. 유태인들은 대화만큼 훌륭한 교육법은 없다고 말한다. 그것은 부모가 자주 하는 말이 아이들을 움직이는 강력한 힘을 지녔기 때문이다. 대화는 소통의 수단이다. 부모와 자녀가 대화를 통해 서로의 마음을 이해하는 과정이 없다면 문제가 생기기 쉽다. 요즘 가정 불화나 청소년 비행이 늘어나는 것도 대화법의 문제가 아닐까 싶다.
부모 입장에서는 일방적인 잔소리나 호통을 대화라고 착각할 수도 있다. 그러니 부모는 분명 아이와 대화를 한 것 같은데 도통 아이의 마음을 알 수 없는 것이다.
유태인 부모의 지혜로운 교육법을 살펴보면 권위를 함부로 남용하지 않는다. 아이를 대할 때 독립적인 인격체로 인정한다. 당연히 대화도 부모가 주도하기 보다는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며 들어주는 입장이다.
반면, 나의 경우를 돌아보니 한숨이 나온다.
책에서 <화가 날 때 절대 해서는 안 되는 7가지 말> (41p)을 보면 너무도 자주 쓰는 말이라 속이 뜨끔하다. 아이를 잘 키우겠다는 욕심을 부리면서 말로는 아이의 기를 죽이고 자존심을 뭉개고 있었던 것이다.
“말도 안 되는 소리 하지도 마라.” “엄마 바쁘니까 이따 이야기해.”
“빨리빨리 좀 해! 아이구 답답해.”
“내가 너 때문에 못 살아!” “넌 누굴 닮아 이 모양이니?” “커서 뭐가 될래?”
“잘한다! 네가 하는 일이 다 그렇지 뭐.” “거봐, 내가 뭐랬니?”
“넌 그것밖에 못하니?” “쓸데없는 짓 그만하고 공부나 해!”
“왜 쓸데없는 짓을 해서 엄마를 귀찮게 해?” “왜 시키지도 않은 일을 해서 말썽이야!”
“내가 누구 때문에 사는데!” “내가 널 어떻게 키웠는데!”
이 말 중에 입에 자주 오르내리는 말이 있다면 반드시 이 책의 대화법을 참고하길 바란다. 습관 중에 가장 오래된 습관이 있다면 언어 습관일 것이다. 긍정적인 생각은 머리 속에서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 입을 통해 내뱉는 말 속에서 생겨나는 것 같다. 매일 사랑하는 우리 아이들에게 어떤 말을 해 주는가?
부모가 먼저 잘못된 언어 습관을 고쳐야 제대로 된 대화법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그 동안 쌓이고 쌓인 나의 습관들을 어떻게 고쳐야 될 지 고민스럽다. 그러나 우리 아이들을 위해 못 할 일이 또 무엇이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