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표류 - 바다가 내게 가르쳐 준 것들
스티븐 캘러핸 지음, 남문희 옮김 / 황금부엉이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대서양 표류 76일째, 극적으로 구조된 한 남자의 실화다. 이 아찔한 모험은 16년 전의 일이지만 아직까지 많은 이들에게 읽혀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망망대해 구명선에 의지하여 오로지 살기 위해 투쟁하는 모습은 흡사 우리 인생과 닮았기 때문일 것이다. 물론 그가 경험한 극도의 굶주림과 갈증은 최악의 상황이다. 아무도 없는 세상에 홀로 살아남는다면 어떻게 버텨낼 수 있을까?
“바다에 떠다니는 것은 죄다 일종의 섬이다.” (125p)
누군가에는 실질적인 경험이, 경험하지 못한 사람에게는 지극히 철학적인 명제로 다가오는 것 같다. 난파당한 뒤 작은 구명선을 의지한 채 구조되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면 절망감과 분노로 삶을 포기하고 말았을 것이다. 그러나 현명한 그는 최대한의 이성을 끌어모아 중요한 진실을 깨닫는다. 넓은 바다 위에서 작은 구명선을 배들이 발견하기란 기적과도 같은 일이다. 그들이 왜 자길 발견하지 못했냐고 원망한들 소용없는 일이다.
“나는 최선을 다했어. 너는 최선을 다할 수 있어.”
이렇게 중얼거리며 좌절감을 달랬다. 한 가지는 분명하다. 나를 구조하기 위해 타인들에게
의지할 수는 없다. 나 스스로 나를 구조해야만 한다. (136p)
그는 ‘바다의 자유’라는 유혹에 이끌려 감히 바다를 향해 나섰지만 바다는 결코 호락호락한 상대가 아니었다. 바다는 인간적인 감정과는 무관하게 수많은 생물들을 포용하면서도 때론 거칠게 내몰기도 한다. 그는 자신이 직접 제작한 나폴레옹 솔로 호가 험난한 대서양을 건너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만큼 오랜 기간 준비하고 노력했으니까.
바다를 그토록 사랑한 그였지만 표류하면서는 ‘왜 하필 나야?’ 혹은 ‘카나리아 제도를 떠나지 않았다면……’이라는 부질없는 생각에 빠지기도 한다. 살고자 하는 의지와 벗어나고픈 충동은 그에게는 삶의 투쟁이면서 고행하는 자의 번뇌와도 같다.
인간의 필요와 욕구 사이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는 걸 생애 처음으로 절감했다.
……궁핍한 생활은 참으로 기묘하고도 소중한 풍요를 내게 선물했다. (171p)
인간의 본성인지는 모르겠지만 인간은 풍요로울 때는 결코 만족을 모른다. 그러다가 모든 것을 빼앗긴 뒤에야 지금 가진 작은 것의 소중함을 깨닫는 것이다. 이 소중한 삶의 지혜를 영원히 간직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나 세월이 흐르고 기억이 희미해지면서 깨달음도 조금씩 사라지는 것 같다. 그의 표류기가 오랜 세월 동안 많은 이들에게 읽혀지는 것은 그의 선명한 깨달음의 순간을 되살리기 위함이라고 생각한다.
인생을 바다에 비유하지만 실제로 바다를 표류하면서 인생의 혹독한 시험을 통과한 스티븐 캘러핸처럼 교훈을 주는 경우는 드물 것이다. 인생은 홀로서기다. 끊임없이 살기 위해 몸부림 치며 위대한 자연과 신 앞에 겸손함을 배운다. 우리가 스스로를 살려내는 것이 아니다. 그저 최선을 다하며 견디는 것이다.
비록 운명의 선택을 기다리는 것이 인간의 몫일지라도 끝까지 최선을 다하는 것이 바다가 가르쳐 준 진실이 아닐까?
또한 그가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그의 부모님과 형은 포기하지 않고 구조 활동을 펼쳤다고 한다. 다들 살아남기 힘들다고 포기해도 끝까지 희망을 놓지 않는 가족이 있다는 건 인생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게 만든다.
“삶은 모순투성이다. 바람이 거세게 불면 목적지를 향해 쾌속 전진할 수 있어 기쁜 반면, 몸이 젖고 추워서 오들오들 떨어야 하고 난파의 두려움에 시달려야 한다. 바람이 잔잔해지면 몸이 마르고 상처가 아물며 물고기도 더 쉽게 잡히지만, 표류 기간이 연장되고 도중에 상어를 만날 위험도 커진다…… 나쁜가 아니면 더 나쁜가, 불편한가 아니면 좀 더 불편한가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109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