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길버트 그레이프
피터 헤지스 지음, 강수정 옮김 / 막내집게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오래 전에 영화 <길버트 그레이프>를 본 기억이 난다. 솔직히 재미는 없었다. 시골 동네에서 가족을 부양하고 있는 길버트의 삶은 지루해 보였다.
그 당시에 나는 길버트를 불행한 가정의 희생자로 여겼다. 가족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청춘을 낭비한다고 말이다.
만약 멋진 조니 뎁과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라는 배우가 주연이 아니었다면 그냥 잊었을 영화인지도 모른다.
그런데 왠지 이 원작소설이 읽고 싶어졌다. 이 영화를 봤던 시절을 추억하듯이 말이다. 그리고 알게 됐다. 어린 시절에는 미처 느끼지 못했던 수많은 생각과 느낌을 담고 있다는 것을.
영화와는 다른 <길버트 그레이프>를 새롭게 만난 것이다.
길버트 그레이프 자신과 가족이라는 울타리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우리는 누구나 멋진 인생을 꿈꾼다. 그 속에는 훌륭한 부모님과 가족들, 풍요로운 일상, 사회적인 성공 등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길버트에게 주어진 삶은 자살한 아빠, 폭식으로 거대한 뚱보가 된 엄마, 엄마를 대신하는 나이 든 누나, 지적 장애아 남동생, 철부지 여동생이 차지하고 있다.
길버트는 가족을 끔찍이 사랑하면서도 한 편으로는 미워한다. 지적 장애아 남동생 어니를 돌보는 일은 길버트 몫이다. 어니는 의사가 오래 살지 못할 거라고 했기 때문에 엄마의 소원은 그저 어니의 18세 생일을 보는 것뿐이다.
이들의 지루한 일상에서 유일한 사건은 경찰서에 잡혀간 어니를 찾기 위해 엄마를 비롯한 온 가족이 출동하는 장면일 것이다. 아빠의 죽음 이후에 절대로 집밖에 나가본 적 없는 엄마가 어니를 위해 외출한 것이다.
엄마의 존재는 집과 같다. 엄마는 늘 ‘여기는 내 집이다’라고 말한다. 하지만 어느 순간 엄마는 집과 한 몸이 되어 움직일 줄 모른다. 자살한 아빠처럼 무책임하게 떠나지 않으려는 엄마만의 노력인 것이다.
아마도 <길버트 그레이프>의 진정한 주인공은 엄마가 아닐까 싶다.
엄마라는 집, 그 안에 가족이라고 불리는 사람들.
부족하고 모자라지만 한 지붕 아래 가족으로 살 수 있던 것은 바로 엄마가 있었기 때문이다. 남들이 보기에는 먹기만 하는 뚱보 엄마지만 그레이프 집안에서 엄마는 그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존재다.
보니 그레이프, 이것이 엄마의 이름이다.
젊은 시절에는 동네 남자들을 설레게 할 만큼 아름답던 여자였다. 앨버트 그레이프와 결혼하여 그들의 엄마가 되면서 그녀의 이름은 잊혀졌다.
현재 살고 있는 집은 아빠가 직접 지은 것이다. 왜 아빠는 막내 여동생 엘렌을 임신한 그 때 자살을 한 걸까? 이유는 아무도 모른다. 어차피 이유는 필요 없다. 아빠는 떠났고 그들은 남겨졌다.
엄마의 충격은 지금 그녀의 거대한 몸처럼 엄청났을 것이다. 처음에는 그저 먹기만 하는 엄마가 무책임하다고 생각했다. 그녀 때문에 서른네 살 에이미 누나는 결혼도 하지 않고 집안일을 하고, 길버트는 생계를 책임지고 있으니까. 그런데 마지막 장면을 보면서 엄마, 그리고 가족의 의미가 떠올랐다.
길버트를 따분한 마을 엔도라에 머물게 한 것은 어쩔 수 없는 책임감이 아니었다. 그것은 엄마와 가족에 대한 사랑이었다.
온 가족이 어니의 18세 생일 파티를 위해 준비하는 마음처럼, 부족한 동생을 감싸주는 것은 가족이라는 울타리가 있어 가능한 것이다.
길버트 그레이프를 통해 우리의 모습을 돌아본다.
지루한 일상에 투덜대고, 가족들이 마음에 안 들고, 성공한 친구가 부럽고.......
이 책을 읽고 다시 영화를 안 볼 수 없었다.
소설이 지닌 감동을 전부 표현해낼 수는 없지만 인물들이 보여주는 생생한 느낌은 인상적이었다. 다만 아쉬운 점은 베키라는 인물이 소설처럼 신비롭고 강렬하지 못했다. 그래서 영화로는 기억 속에 남지 못했던 모양이다.
아직 <길버트 그레이프>를 만나지 못한 분들은 부디 책을 먼저 읽어보시라고 말하고 싶다. 영화는 원작소설을 각색한 또 다른 세상이다.
“사람에겐 깜짝 놀랄 멋진 일들이 일어나게 되어 있단다, 길버트.” -램슨씨
“중요한 건 속에 있는 거야.” -베키
“사람들에게 일깨워주고 싶다고.” -베키
"뭘?"
“우리가 살아있다는 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