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비의 탄생 - 퇴계 이황부터 추사 김정희까지
김권섭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온고지신(溫故知新)을 떠올리게 한다.
흔히 선비라고 하면 고리타분한 지식인의 모습으로 생각하던 내게 새로운 의미로 다가온다.
바로 <선비의 탄생>이란 조선시대 널리 알려진 아홉 명의 인물을 통해 말해준다.
퇴계 이황, 남명 조식, 율곡 이이, 송강 정철, 난설헌 허초희, 교산 허균, 고산 윤선도, 다산 정약용, 추사 김정희가 그 분들이다.
여성으로서는 유일하게 허난설헌이 있어 반가운 마음이다. 아무래도 역사적 문헌과 자료에 기초하여 인물을 소개하다 보니 여성은 자연히 제외될 수 밖에 없는 것 같다. 다행히 동생 허균의 노력으로 기록이 남아 있어 이렇게 만난 것이다. 그녀의 삶은 신사임당과 견주어 똑똑했으나 불행한 여인으로 기억된다. 그러나 시대적 비극을 들추기 보다는 그녀의 재능을 꽃 피울 수 있었던 가정 분위기에 초점을 맞추고 싶다. 배움에 있어서 남녀를 가르지 않았던 개방적인 아버지의 모습에서 배움의 시작은 부모임을 깨닫게 된다.
다른 선비들의 어린 시절을 봐도 부모를 일찍 여의어서 제대로 배우지 못했음을 아쉬워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들에게는 훌륭한 스승이 계셨고, 좋은 벗이 함께 했기에 배움의 길을 갈 수 있었다.
시대는 변했어도 인간관계는 크게 다르지 않다.
이것이 현대에 있어서 새로운 선비를 탄생시킨 연유라 할 수 있다.
부모와 자식, 부부, 친구, 스승과 제자라는 관계 속에서 얼마나 정성을 다했는지를 보면서 우리를 돌아보게 한다. 개인주의가 당연시 되고 배려와 신의의 소중함을 잊기 쉬운 요즘에 선비들의 삶은 많은 것을 깨닫게 해준다.
책 속에는 그들이 남긴 편지와 한시가 번역되어 있다. 한 통의 편지는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인간애가 느껴진다. 정성 들여 쓰여진 편지가 전해지기까지 걸리는 시간과 노력을 생각하면 그 마음이 더욱 절절하게 전해진다.
아마도 우리가 인간 관계의 소중함을 잊는 것은 편리함이 가져다 준 부작용이 아닐까 싶다.
전화 한 통이면 언제든 안부를 물을 수 있고, 보고 싶으면 언제든 만날 수 있다는 편리함이 도리어 서로에 대한 애틋함을 없앴는지도 모른다.
특히 선비들의 삶에서 부모에 대한 효심은 남다른 것 같다. 친어머니를 여의고 새어머니를 모셔도 소홀함 없이 정성을 다하고 돌아가신 후까지 지극한 것을 보면 본받아야 될 가장 큰 덕목이란 생각이 든다.
현재 우리의 삶은 훌륭한 선비들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리라.
조선시대를 바라볼 때 역사적인 아쉬움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훌륭한 선비 정신을 되새기면서 오늘을 바르게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은 역사공부를 위한 전문서는 아니지만 그에 못지 않은 내용을 담고 있다. 인물 탐구를 통해 역사도 배우고 선비 정신도 배울 수 있어 좋은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