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등 입학전 읽기능력이 평생성적을 결정한다
이정균 지음 / 미르북스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미취학 아동을 둔 부모라면 도움이 될 책이다.
제목이 모든 걸 말해준다. 읽기 능력이 왜 중요하며 어떻게 키울 것인지를 알려준다.
아마도 많은 부모들이 '평생 성적'이란 단어에 눈길이 갈 것이다. 나 역시 욕심을 갖고 이 책을 펼쳤으니까.
그러나 욕심을 버리자. 내 자신에게 하는 말이다. 알지만 어렵다. 부모의 욕심이 아이를 힘들게 하는 것을......
올바른 독서 교육의 목적은 우리 아이의 행복이 우선임을 잊지 말자.
아이가 한글을 떼지 못했을 때는 제법 열심히 책을 읽어줬다. 그런데 혼자 책 읽기 독립을 한 뒤로는 독서교육에 대해 특별히 신경을 못썼다. 이유는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는 목적이 한글 교육에 있었기 때문이다. 스스로 책을 읽으니 굳이 책을 읽어줄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책 읽기가 어디 단순히 글만 읽는 수준이겠는가? 그 동안 몰랐다기 보다는 무심했던 것 같다.
책 읽기를 학습으로 보는 엄마와 재미로 보는 아이, 이제는 아이쪽으로 기울어져야 할 때인 것 같다. 독서의 즐거움이 습관이 되면 그 다음은 독서를 통해 호기심과 궁금증을 풀어가는 단계로 확장된다.
여기서도 읽기 능력이란 초등 기초학습능력의 기본이라고 말한다. 잘 읽는다는 건 책의 줄거리뿐 아니라 그와 관련하여 자신의 생각을 넓히는 과정이 포함된다. 읽기 능력을 통해 키울 수 있는 집중력, 상상력, 논리적 사고는 올바른 독서 교육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아이 수준에 맞는 책을 부모가 소리 내어 읽어주고 아이와 함께 대화를 나누는 것이다. 아이는 부모의 목소리를 통해 안정감을 느끼고 바른 듣기 능력을 기르게 된다. 그래서 잘 읽는 아이가 잘 듣고, 잘 표현하고 바른 태도를 가진다.
"좋은 리더(Reader)가 남들이 부러워하는 리더(Leader)로 성장한다."
이 책에서는 0세부터 7세까지 연령별 추천도서와 구체적인 독서 교육법을 알려준다.
출생에서 2세까지는 들려주고 또 들려줘라.
3세부터 4세까지의 아이들은 놀면서도 배운다.
5세부터 6세까지 아이들이 스스로 책을 볼 수 있도록 보조한다.
7세부터 초등 입학 전까지 지적 능력을 마음껏 펼치게 하라.
연령마다 아이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알맞은 책을 읽어주는 일이 부모의 몫이다. 저절로 크는 아이는 없다. 부모의 세심한 배려와 사랑이 있어야 몸과 마음이 무럭무럭 자랄 수 있다. 읽기 능력은 하루 아침에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좋은 책을 선택하고 그 책을 읽어주는 부모를 통해서 얻을 수 있다.
저자 이정균 선생님의 조언처럼 좋은 책이란 우리 아이에게 꼭 맞는 책이다. 추천도서 목록에만 의지하기 보다는 적극적으로 좋은 책을 고를 수 있어야 한다. 부모는 내 아이의 개성과 특성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이 점이 가장 중요하다.
독서교육의 지름길은 따로 없다. 꾸준히 내 아이를 지켜보면서 좋은 책을 접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여러모로 유익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