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정아의 서울대 말하기 강의 - 소통의 기술, 세상을 향해 나를 여는 방법
유정아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서울대 말하기 강좌가 있다는 걸 이 책을 통해 알았다. 작문이나 문법도 아닌 말하기 강좌가 있다는 것도 새롭지만 굉장히 인기 강좌란 사실이 놀랍다. 그만큼 잘 말하기가 어렵다는 의미일 것이다.
말을 잘 하는 사람을 보면 부럽다. 유명 강사나 아나운서처럼은 아니더라도 적재적소에 필요한 말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 말할 때 중요한 타이밍을 놓쳐서 후회한 적이 많기 때문이다. 분명히 생각한 대로 말하면 되는데 말하는 동안에 내용이 꼬여버리는 것이다. 도대체 말 잘 하는 사람의 비법은 무엇일까?
전직 아나운서이자 현재 서울대 말하기 강의를 하고 있는 저자답게 조목조목 강의하듯 알려준다.
말하기 = 소통
무엇이든 필요하고 간절해야 얻을 수 있다. 말하기도 마찬가지다. 무작정 말을 잘 하고 싶다는 사람은 실제로는 부러워만 할 뿐 특별한 노력을 안 하는 경우가 많다. 바로 내 경우다. 그런데 요즘 말하기의 중요성을 절실히 느낀다. 그동안 말 가꾸기에 소홀했다는 티가 난다. 말도 외모처럼 가꾸지 않으면 거칠고 미워지는 것 같다. 너무 의식하지 않고 살다보니 말하기 능력이 떨어진 것 같다. 그래서 이 책의 도움으로 아름다운 말하기 능력을 키워보고 싶다.
무엇보다 이 책은 단순히 말 잘하는 비법을 소개하지 않아서 좋다. 겉만 번지르르한 말은 처음에는 호감을 얻지만 오래가지 않는다. 왜 우리가 말하기를 잘 해야 하는지, 어떤 마음가짐으로 말을 해야 하는지부터 설명한다.
모든 자기계발서의 핵심인 "긍정적인 자기 인식"이 나온다.
말은 우리의 생각, 느낌, 감정, 판단 등을 세상 밖으로 표현해내는 도구라 할 수 있다.
긍정을 담고 있지 않으면 절대로 좋은 말이 나올 수 없다. 가식적으로 듣기 좋은 말을 할 수는 있겠지만 진심이 없으니 상대의 마음에도 전해지지 않는다. 기분 나쁘다고 생각한 날은 하루종일 안 좋은 일이 많이 생기는 것 같다. 그게 우연일까?
아니다. 기분 나쁜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한 내 탓이다. 투덜대거나 기분 나쁘게 말하고 있는 자신을 깨닫지 못해서다. 누가 화내거나 짜증난 사람과 같이 있고 싶겠는가? 그러니 말하기의 기본은 마음가짐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본격적인 말하기 맞춤 강의에는 정보 스피치, 설득 스피치, 일대일 대화, 인터뷰, 토론이 등장한다. 일반적으로 말하기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경우는 공적인 말하기가 부족해서다. 여러 사람 앞에서 발표를 하거나 누군가를 설득해야 될 때 우물쭈물하거나 말끝을 흐린다면 좋은 결과를 얻기 힘들다. 말하기도 연습해야 실력이 는다.
이 책에서 얻은 비법 한 가지를 알려주고 싶다. 이건 누구나 미리 준비해두면 꽤 유용할 것이다.
바로 언제 어디서든 말할 수 있는 인상적인 자기 소개말을 준비하는 것이다.
자, 당신을 소개해보세요!
어린 시절부터 많이 해봤겠지만 제대로 하기는 힘들었던 자기 소개, 이것이 말하기의 기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