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등어를 금하노라 - 자유로운 가족을 꿈꾸는 이들에게 외치다
임혜지 지음 / 푸른숲 / 2009년 9월
평점 :
지구 환경을 위해 오늘부터 자동차 대신 자전거를 타든지 걸어다니라고 한다면?
물 절약을 위해 목욕 대신 샤워만 하라고 한다면?
자녀들에게 성교육으로 콘돔 사용법을 알려주라면?
내게 이런 질문을 한다면 정말 곤란하고 당황스럽다. 환경 보호를 위해 노력하는 일은 당연하고 옳은 일이다. 하지만 불편함을 감수하면서까지 실천하는 일은 어렵다. 그리고 아무리 시대가 변했다지만 겨우 십대 초반의 자녀들에게 콘돔을 들고 안전한 섹스를 설명할 만한 준비는 안 되어있다. 그런데 여기 정말 괴짜 가족이 있다.
고등학생 때 독일로 이주하여 독일인 남성을 만나 결혼한 임혜지 님의 가족이 그렇다. 외모는 동서양의 차이가 뚜렷한 부부지만 삶의 방식은 쌍둥이처럼 닮아있다. 누가 시킨 것도 아닌데 자진해서 환경 보호에 앞장 서는 그들, 자유로운 가족을 꿈꾸며 실천하는 그들 부부의 삶이 놀랍다.
배울만큼 배운 사람들이 세속적인 성공에는 관심이 없단다. 몇 시간 더 일하고 돈을 버느니, 덜 일하고 가족과의 시간을 더 가지기 위해서란다. 독일 중산층 기준으로 보면 많지 않은 수입인데 워낙 절약해서 살다보니 저축하고도 남는단다. 이것 참, 한국이나 독일이나 남들보다 성공하려고 아둥바둥 사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데 뭘 믿고 이렇게 사는 걸까?
확실히 이들 부부에게는 뭔가 특별한 게 있다. 번듯한 집 한 채도 없이 세들어 사는데도 부자보다 여유롭고 넉넉하다. 좁은 집에사람들을 초대하여 파티도 연다. 도움이 필요한 곳에 기부도 한다. 두 아이 모두 난독증으로 성적이 부진해도 꿋꿋했다. 우리나라였다면 걱정이 태산이요, 어떻게든 고쳐보려고 난리가 났을 상황이다. 아이들 성적이 부모의 성적인양 어떻게든 공부시키려 안달난 부모들과는 딴 판이다. 독일도 돈자랑하는 사람들, 아이들 사교육에 엄청 투자하는 사람들이 있단다. 그러거나 말거나 전혀 신경쓰지 않는 부부, 그래서 남들 기준이 아닌 자신들의 기준대로 행복하다.
행복의 기준은 상대적인 것이 아니라 절대적이다. 그런데 종종 잊을 때가 있다. 남과 비교하여 넓은 집, 좋은 차, 많은 돈을 가져야 행복한 줄 안다. 가족과의 시간을 줄이더라도 회사에 몸바쳐 일하고, 어떻게야 돈을 더 벌 것인지에 관심이 쏠린다. 돈은 행복한 삶의 수단인데 목표가 되어버린다. 우리나라의 아빠들은 바쁘다. 열심히 가족을 위해 돈을 벌어야 되니까 함께 할 시간이 부족하다. 이해 못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지금 이순간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을 소홀히 한다면 진정한 행복과는 멀어질 것이다.
아이들 교육도 마찬가지다. 성적은 상대적인 기준이다. 잘하는 학생이 있으면 못하는 학생이 있다. 그런데 성적만을 가지고 아이를 나무라고 잘하기를 바란다면 아이는 행복할까? 흔히 부모들이 하는 말, " 다 너 잘 되라고 하는거야." 는 결국 "너는 내 뜻을 따라야 된다"라는 압박이요, 강요인 것이다. 아이의 자유 의지는 무시하고 부모가 원하는 대로 끌고가는 것이다. 그러면 서로 멀어지고 가족은 든든한 후원자가 아닌 억누르는 올가미가 된다. 상상만으로도 끔찍하다. 지금이라도 깨달았으니 다행이다.
또한 성교육을 순결교육으로 생각하는 우리 정서와는 달리, 독일은 꽤 개방적이다. 나 역시 꽉 막힌 부모는 아닌데도 부부가 사용하는 콘돔을 아이들에게 허용한다니 충격이다. 너희들도 컸으니 필요하면 가져다 쓰라는.
그러나 이들 부부가 어떻게 자녀 교육을 해왔고 삶의 방식이 어떠한지를 알아가면서 이해할 수 있었다. 자녀들을 동등한 입장에서 바라보고 믿어주는 일, 그것이 이들 가족이 행복하게 사는 비결임을 알았다. 멋지다.
자녀들이 잘못될까봐 전전긍긍하며 모든 걸 간섭하는 부모가 아닌, 자녀의 선택을 믿고 따라주는 부모가 되고 싶다.
이들 부부가 사는 방식에 모두 공감할 수는 없지만 존경스럽다. 자유로운 가족, 행복한 가족이 무엇인지 배울 수 있어서 기쁘다.
참, "고등어를 금하노라"는 지구 환경을 위해 자신이 좋아하는 고등어 반찬을 포기한 임혜지 님의 결단을 뜻한다.
이들 부부가 사는 방식을 단적으로 표현한 멋진 제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