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99 - 드라큘라 사진관으로의 초대
김탁환.강영호 지음 / 살림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공포 영화를 즐겨보지 않는 사람이라면 비추천함.
이 책은 공포 영화에서나 나올 것 같은 이미지의 사진들이 수두룩함.
소설가 김탁환과 사진작가 강영호가 함께 쓴 장편연작소설임.
문장의 마지막 어미를 'ㅁ'받침으로 쓰는 건 소설 속 인물 제이 킬의 독특한 말투인데 따라해보니 재미있음.
장소는 홍대 앞 '상상사진관'임.
등장 인물은 사진작가 강영호, 그리고 제이 킬과 신중하지 않은 뿔, 턱을 기르는 왕, 반딧불이 인간, 웨딩 인간, 끈적 인간, 아몬드 인간, 알바트로스 인간을 비롯한 괴물들임.
특히 제이 킬은 드라큘라 성을 만든 건축가임.
사진 속 인물은 사진작가 강영호임. 사진을 찍기 위해 체중을 20킬로그램이나 감량했다고함.
독종인 게 확실함. 아니, 괴물이라고 해야겠음.
솔직히 이야기 자체가 무섭고 소름끼칠 정도는 아님.
하지만 사진을 보면서 이야기를 떠올리면 왠지 섬뜩해짐.
도대체 왜 이런 보기에도 끔찍한 형상의 괴물을 창조해낸 것일까 궁금함.
이 책은 마치 드라큘라 성을 만들어 인간의 피가 아닌 공포심을 빨아들이려는 속셈인 것 같음.
가장 원초적인 감각, 인간의 공포심으로 극한의 상상을 자극하는 듯함.
어둠, 아무 것도 보이질 않는 어둠이 주는 공포는 무에서 유를 창조했음.
어둠 속에서 갑자기 튀어나올 것 같은 괴물의 형상이 사진 속에 보임.
환한 대낮에는 느낄 수 없음.
모두가 잠든 밤, 혼자 이 책을 펼친 순간 오싹해짐.
오래 전 어둠 속에서 거울을 마주한 느낌과 흡사함.
자신의 모습을 보고 깜짝 놀란 적 있음.
괴물은 어디에나 존재함.
낯선 무언가가 아니라 바로 자기 자신의 모습 속에서 발견함.
그들은 괴물을 창조한 것이 아니라 발견한 것임.
확실히 이 책은 독특함.
자유롭고 개성 강한 두 사람이 함께 작업했다는 것이 놀라움.
그들은 샴쌍둥이처럼 서로를 알아봄.
괴물끼리 통한 것임.
왠지 이 책이 끌리는 것은 내면의 괴물들이 꿈틀대는 징조임.
그들이 들려주는 이야기가 시시하다고 느낀다면 그 보다 더 확실한 증거는 없음.
바로 당신이 괴물임.
낯설지 않음.
놀랍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