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조적 책읽기, 다독술이 답이다
마쓰오카 세이고 지음, 김경균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읽기에 어떤 특별한 비법이 있을까? 단순히 책을 읽는 수준의 독자로서 궁금하다.
책읽기에 있어서 '창조적' 의미는 무엇일까? 독자에게 책읽기가 창조적일 수 있다니 신기하다.
도대체 마쓰오카 세이고는 어떤 사람일까? 일본에서 '독서의 神'으로 불린다고 하니 대단한 사람인 것 같다.
책 제목만 봐도 수많은 물음표들이 가득해진다.
책읽기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책을 안 보고는 못 배길 것이다.
우선 그의 이력을 보니 출판사를 거쳐 편집공학 연구소를 설립하여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몇 년 전부터 온라인에 매일 밤 한 권씩 독서 감상문을 올리는 <센야센사쓰> 프로젝트는 감탄이 절로 나올 지경이다. 아직도 현재 진행형이라고 하니 그의 인생 프로젝트라 해도 무방할 듯 싶다. 아무리 글을 잘 쓰는 사람이라도 매일 글을 쓴다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그런데 그 일을 업무가 아닌 일상으로 바꿔놓았으니 마쓰오카 세이고는 진정한 독서 고수다.
이 책은 마쓰오카 세이고에게 책읽기에 관한 궁금한 내용을 묻고 그의 답변을 듣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차근차근 그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세이고식 독서 비법을 배울 수 있다. 그에게 책이란 살아 숨쉬는 이 세계의 모든 것이다. 독서는 패션이라고 말할 만큼 일상의 옷을 입고 벗듯이 자연스러운 행위인 것이다. 그래서일까? 책은 반드시 두 번 읽는다고 한다.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서 전혀 다른 생각과 느낌을 주기 때문이란다. 공감하면서도 감히 실천하기는 힘든 독서법이다. 마치 꼭꼭 씹어 밥을 먹는 느낌이다. 완전히 자신의 것으로 소화시키는 작업이란 점에서 배울만 하다. 그래서 그는 독서를 일방적인 전달이 아닌 상호 소통으로 표현한다. 차곡차곡 쌓인 세이고식 독서 내공은 만리장성 같다. 웅장한 만리장성 앞에 한없이 주눅들지만 결국 만리장성도 작은 벽돌 한 개부터 시작했다고 생각하면 금세 힘이 솟는다.
바로 이 책을 읽는 이유도 마쓰오카 세이고의 독서 비법을 내 식대로 흡수하기 위함이다.
"독서는 누군가와의 인연이다." - 책이 작가의 편지라면, 독서 감상문은 독자가 보내는 답장이란 생각이 든다. 그리움으로 서로에게 편지를 쓰듯 한 권의 책을 통해 특별한 인연을 맺는 것이다.
"독서는 협업이다." - 누군가의 글을 통해 공감하고 새롭게 알아가는 과정은 결코 일방적인 소통일 수 없다.
"책은 이미 텍스트가 들어있는 노트이다." - 어린 시절부터 깨끗하게 책을 봐야 한다고 배웠는데 오히려 그 때문에 책은 손도 대지 않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읽혀지지 않는 책은 이미 책이 아니다. 책의 가치를 인정해주려면 고이 책장에 모셔놓기 보다는 손때가 묻더라도 자꾸 읽어줘야 한다. 책을 노트라고 생각하면서 내 마음대로 표시하며 읽는 법은 책과 친해질 수 있는 좋은 방법인 것 같다.
왜 다독술이 답일까? "책은 책으로 연결된다." - 수많은 책을 읽다보면 어느 순간 결정적인 책을 만나게 되는데 그것을 저자는 '열쇠 책' 즉 '키 북'이라고 부른다. 이 키 북을 기본으로 해서 계속 읽어 나가는 것이 다독술의 핵심이다. 그는 자신의 독서법을 이야기하면서도 자신의 것만을 옳다고 말하지 않는다. 좋은 책과 나쁜 책을 가리지 말고 방법론적으로 빠지지 말고 순수하게 책읽기 자체를 즐기라고 권한다. 분명 그만의 독서 비법은 배울 점이 많지만 굳이 그걸 고집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책에게 납치당하는 스릴을 즐겨라." - 책읽기는 일상적인 행위지만 너무 평범하면 그 즐거움을 잃을 수도 있다. <센야센사쓰>처럼 자기만의 규칙을 정해서 긴장감을 가져도 좋고, 편집 공학적 독서를 통해 자신만의 작품을 완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직 그 정도의 스릴을 느껴보지는 못했지만 지금은 소소한 즐거움에 만족한다.
나에게 있어서 책이란 인생의 네비게이션이다.
낯설고 험한 길을 가더라도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는 든든한 힘이 된다. 중요한 건 네비게이션도 수시로 업그레이드를 해줘야 엉뚱한 길로 가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세이고식 독서 비법을 통해 한층 업그레이드 된 느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