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라진 도시 사라진 아이들 - 1995년 뉴베리 아너 선정도서
낸시 파머 지음, 김경숙 옮김 / 살림Friends / 2010년 4월
평점 :
아이들을 위한 SF 모험담을 읽다보니 어느새 어린 시절로 돌아간 기분이다.
작품을 보면 작가의 경험과 상상력이 잘 결합하여 흥미진진한 세계를 창조해낸 듯 하다. 세계적인 아동문학 작가로 알려진 낸시 파머의 <사라진 도시 사라진 아이들>은 아이들뿐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대단히 영감을 주는 작품이다.
저자는 아프리카 짐바브웨에서 일하면서 아프리카 문화에 심취했던 것 같다.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인물과 장소가 실제로 존재하며 특히 주인공 세 남매 중 쿠다는 자신의 아들 대니얼과 닮아 있다. 실제로 레스트헤이븐에서 대니얼이 반 나절 동안 실종되었던 일은 이야기 속 모험 같다.
미래 세계는 어떤 모습일까? 여기는 아프리카 짐바브웨, 2194년 9월 마치카 장군의 저택이다. 텐다이, 리타, 쿠다 세 아이들은 '사운드 오브 뮤직'에 등장하는 아이들처럼 군기가 잡혀 있다. 열세 살 소년 텐다이는 장군인 아버지와는 달리 사색적이고 감성이 풍부한 소년이다. 열한 살 리타는 활발하고 자기 주장이 강한 소녀다. 네 살 쿠다는 가장 아버지를 닮은 꼬마 용사다. 모든 것이 깔끔하고 완벽해 보이는 저택 안에 살고 있는 세 아이들은 진짜 모험을 꿈꾼다. 항상 가상 세계에서 스카우트 단원인 것이 싫증난 아이들은 아버지를 속이고 몰래 가출을 감행한다.
어린 시절에는 진짜 모험에 대한 환상이 있다. 초등학생 때에 스카우트 단원이라 며칠 야영 캠프를 간 적이 있다. 처음에는 흥분되고 즐겁다가 조금씩 집 생각이 나고 엄마가 보고 싶어졌다. 그 때 깨달았다. "집 떠나면 고생이다. 세상에서 우리 집이 최고다."
하지만 고생을 할지언정 캠프를 포기한 적은 없었다. 그만큼 힘들지만 재미있는 경험이었으니까.
텐다이, 리타, 쿠다는 완벽한 환경 속에서 모든 것을 누리면서도 뭔가 부족함을 느꼈고 그래서 모험을 떠나기로 한 것이다. 온실 속의 화초마냥 지냈던 철부지 아이들이 집을 나서는 순간 예기치 못한 사건들이 벌어진다.
<사라진 도시 사라진 아이들>이 보여주는 미래 세계는 세 가지 형태의 세계가 공존한다.
첫 번째로 텐다이, 리타, 쿠다가 살고 있는 저택처럼 로봇과 기계로 구성된 도시 형태다. 아마도 우리가 상상하는 미래 세계와 가장 흡사할 것이다. 점점 편리함이 극대화되어 인간다움이 사라진 세상같다. 마치 편안한 삶을 위해 자유를 빼앗긴 느낌이다. 우연이나 예기치 못한 사건은 있을 수 없는 삶이란 답답할 것 같다. 그러니 호기심 넘치는 세 아이들이 가출한 것도 이해할 만하다. 부모 입장에서는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했을 것이다. 하지만 아이들은 언젠가 어른이 되어 부모 품을 떠나야 한다는 걸 잊어서는 안 된다. 세 아이들의 모험은 무모하고 위험한 일이었지만 결론적으로는 성숙해지는 값진 경험이었다.
두 번째는 도시를 벗어난 오염 지역인 '죽은 자의 땅'이라 불리는 곳이다. 그 곳의 우두머리는 암코끼리라 불리는 여자인데 마치 여왕처럼 군림하며 사람들을 노예처럼 부린다. 무법천지이며 도시 문명이 파괴된 형태로 공존한다.
세 번째는 고대 짐바브웨의 형태를 띤 레스트헤이븐이란 곳이다. 무당 혹은 영매가 중심이 된 부족 사회다. 미래 세계라고는 생각할 수 없는 원시적인 곳이다.
마치카 장군은 사라진 아이들을 찾기 위해 탐정을 고용한다. 세 명의 탐정은 밝은 귀, 멀리 보는 눈, 긴 팔이다. 이 부분에서 웃음이 났다. 우리 전래동화에 등장하는 신기한 도깨비가 떠오른다. 유전자 조작이나 변종으로 태어난 새로운 인종인 것 같다. 이들의 활약은 그리 돋보이지 않는다. 항상 결정적인 실수로 아이들을 놓치고 만다. 그래도 끝까지 아이들이 납치된 곳을 찾아나선다.
세 탐정은 무척 상징적이다. 세상을 잘 살기 위해 필요한 세 가지 조건 같기도 하고, 자식을 사랑하는 부모가 갖춰야 할 조건 같기도 하다. 중요한 것은 셋이 함께라야 그 능력이 발휘된다는 점이다.
마치카 장군은 아이들이 사라지고 나서야 자신이 어떤 잘못을 저질렀는지 깨닫는다. 부모는 자식의 울타리가 되어야 하지만 그 울타리가 지나쳐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말이다. 세상과 격리되어 안전한 삶을 살게 해주는 것이 최선은 아니다. 조금 아프고 힘들더라도 아이들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기회를 줘야 한다. 세상이 변해도 부모 마음은 다 똑같은 모양이다. 부모 기준에 따른 사랑이 아니라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사랑으로 키워야겠다.
<사라진 도시 사라진 아이들>을 읽으며, 현명하고 용감한 세 아이들의 모험을 통해 소중한 삶의 가치들을 발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