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를 보고 놀라지 마시라
케빈 마이클 코널리 지음, 황경신 옮김 / 달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남들과 다르다는 것이 비극일 경우는 세상이 그 차이를 인정하지 않을 때가 아닐까?
태어날 때부터 두 다리가 없는 케빈은 가족 안에서 자신의 몸이 남들과 다르다는 걸 의식하지 못했다. 하지만 점점 커갈수록 사람들의 시선, 가족들이 느끼는 감정에 대해 생각하게 됐다. 그래서 시작한 것이 스케이드보드를 타고 세계 여행을 다니며 자신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을 사진으로 찍는 일이었다. 이 책은 두 다리가 없는 케빈이 세상을 보는 시선과 그 세상이 케빈을 바라보는 시선을 담고 있다. 한 사람으로서 따뜻한 마음이 없는 것이 끔찍한 것이지, 두 다리가 없다는 것은 그리 놀랄 일이 아닌데......
"나를 보고 놀라지 마시라"
우리나라는 신체에 큰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마음껏 외출하기 힘든 곳이다. 사람들의 이상한 시선은 차치하고라도 어디 길거리나 버스 정류장, 지하철 역까지, 다니기 불편한 곳이 너무 많다. 그 때문인지 시내에서 휠체어를 탄 사람을 보기란 쉽지 않다.
오죽하면 광화문 광장에 중증장애를 가진 분이 거리 시위를 하겠는가. 가고 싶은 곳을 마음대로 갈 수 있는 이동권, 탈 권리를 주장하는 것은 시민으로서 당연한 권리다. 더 나아가 장애를 가져도 능력만 있다면 일할 수 있는 권리, 노동권을 보장해주는 일 역시 마찬가지다. 하지만 정상적인 신체를 가진 다수의 사람들은 장애를 가진 소수의 사람들의 권리에는 무관심하다. 어쩌면 자신이 장애인에 대한 무관심 혹은 차가운 시선을 가졌다는 사실조차 인식 못하며 사는지도 모른다.
케빈이 찍은 사진 속에는 미국을 비롯한 영국, 프랑스, 일본, 보스니아, 크로아티아, 체코, 루마니아 등 나라는 다르지만 케빈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공통된 시선이 느껴진다. 마치 그 사진을 보는 우리가 케빈이 된 것 같다. 환영받지 못한, 뭔가 주변과 동떨어진, 불편한 느낌이 전해진다. '이런 거였구나. 케빈은 이런 시선을 받으며 살아왔구나.'
누구든 이런 시선을 감당하긴 쉽지 않다. 더군다나 케빈은 여행을 하는 동안 자신에게 동전을 던지거나 지폐를 주는 사람들 때문에 분노했다. 그는 거지가 아니라 평범한(?) 여행자일 뿐인데 사람들은 동정하고 그에게 자선을 베풀었다. 원치 않는 동정이 얼마나 큰 상처를 주는지 그 사람들은 알기나 할까. 아니, 나 역시 모른다. 휠체어를 탔거나 의족 혹은 의수를 한 사람들을 보면 시선을 어디다 둬야 할 지 몰라 당황하고 어떻게 도와줘야 할 지 망설이게 된다. 그런데 그들이 원하는 것은 그냥 평범하게, 다른 사람들처럼 대해주는 것인데. 또한 휠체어나 의족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편의수단이 아니라 족쇄일 수 있음을 처음 알았다. 특히 의족이나 의수는 실제 손이나 발의 기능보다는 미각적인 기능이 크기 때문에 착용하는 사람의 편의와는 무관하다. 정상적인 모습으로 꾸며서 서로 불편한 상황을 피하려는 목적이 큰 것이다. 물론 실제로 도움이 되는 경우도 있겠지만 케빈은 굉장히 불편했던 모양이다. 그래서 과감하게 의족을 버리고 스케이드보드를 타고 다님으로써 세계 여행까지 할 수 있었다. 문제는 다리가 없는 케빈이 자신의 몸을 스케이드보드에 올라탄 채 자유롭게 다니는 모습이 타인에게는 매우 당황스러운 광경이란 점이다.
만약 케빈이 자신이 사는 동네에서 사랑하는 가족들과 함께 살고 있었다면 주변의 불편한 시선쯤은 웃어넘길 수 있었을 것이다. 케빈의 부모님은 그가 처음 태어났을 당시에는 무척 혼란스러웠지만 기꺼이 받아들이고 넘치는 사랑을 주셨다. 아버지는 케빈을 위해 잘하지도 못하는 스키를 배우고 대회 출전을 시키기 위해 장거리 운전도 마다하지 않았다. 어머니는 케빈이 무엇을 하든 사랑과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사랑하는 두 여동생 역시 케빈을 영원히 응원해줄 가족들이다.
그러나 케빈은 편하고 익숙한 환경에서 벗어나 세계 곳곳을 여행하며 낯선 시선을 감내했다. 왜 그랬을까?
"누가 나를 들어 올려주지 않으면, 무슨 수로 계산대에 손을 뻗을 수 있지?
누가 나를 옮겨주지 않으면, 무슨 수로 25센티미터 높이의 눈이 쌓인 주차장을 지나갈 수 있지?"
그 모든 난감한 일들, 수년 동안 부모님의 마음 속에 가득 차 있던 문제들이 내 마음 속으로 자리를 옮기기 시작했다.
지금도 나는 모든 대답을 알지 못한다. 그러나 최소한 한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은 찾아가고 있었다.
다리 없는 사람에게 적응하지 못하는 이 세계에, 나는 무슨 수로 적응할 것인가?
- 26p~ 27p-
낯설고 무심한 사람들 속에서 당당하게 자신을 드러낸다는 건, 세상을 향한 외침이며 1인 시위였다.
"나를 보시라, 다리가 없어도 세계 여행을 할 수 있다.
나를 가로막는 것은 다리가 없다는 장애가 아니라 다리 없는 사람을 적응 못하는 세상의 수많은 시선이라고."
분명 이 책을 읽기 전까지의 나는, 그러한 시선으로 바라봤을 것이다. 하지만 케빈이 들려주는 이야기와 사진을 보면서 더블 테이크(double take)를 알게 됐다. 더블 테이크란 문득 갑자기 다시 돌아보는 것, 글자 그대로 또한 상징적인 의미에서, 처음에는 알아차리지 못했던 사람 또는 사건의 의미에 대해 문득 다시 돌아보는 것을 뜻한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편견과 차별 없는 순수한 시선이다. 케빈은 사람들에게 신선한 더블 테이크의 기회를 준 것이다.
이미 케빈은 자신이 세계 여행을 하며 찍은 사진으로 <롤링 전시회>까지 열었고 이 책에 실린 사진도 그 중에서 발췌한 것이다. 그를 실제로 본 적은 없지만 보면 놀랍다고 말할 것이다. 세상을 향한 그의 용기와 도전에 대해 놀라움을 꼭 전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