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꽃 - 엄마에게 담긴 50가지 꽃말
김정란.도종환.이기호.천운영 외 지음 / 좋은생각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예전에는 몰랐다.
내가 누군가에게 "엄마!"라고 불리기 전까지는, '엄마'라는 단어가 이토록 가슴뭉클해질 수 있다는 것을......
"엄마는 꽃이다. 꽃을 볼 때마다 엄마 생각이 난다."라는 김정란 시인의 말에 백 번 공감하며 이 책을 펼쳐 들었다.
이 책은 다양한 사람들이 말하는 '나의 엄마'에 관한 진솔한 이야기다. 각각의 이야기는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뉘어 예쁜 꽃 사진과 꽃말이 어우러진다.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꽃들마다 사연을 지니듯 꽃말을 가졌다는 것이 신기하다. 어쩌면 이리도 우리 어머니들의 모습과 닮았는지, <엄마꽃>은 보면 볼 수록 향기롭고 아름답다.
책 속에 유독 마음을 잡아끄는 이야기가 있다. 자궁 근종으로 자궁적출술을 한 엄마 곁에서 간호하던 딸이 아빠를 향해 했던 말이 괜시리 내 마음까지 뭉클하게 만들었다. "엄마한테서 떠어 낸 거, 우리가 살던 집이에요. 이제 엄마한테 잘해 주세요." 그렇다. 엄마는 우리가 이 세상에 존재할 수 있도록 해준, 가장 처음 살았던 고향 같은 집이다. 아무리 먼 타향에 가도 잊을 수 없는 고향처럼, 엄마는 어디에 계시든 우리에게는 영원한 보금자리와 같은 존재다. 그런데 엄마 품을 떠나는 순간부터 고향의 소중함은 점점 잊혀지고, 엄마는 한 떨기 꽃이 되어 한없이 자식을 오매불망 기다리는 존재가 된다.
나의 엄마는 소녀 같은 분이다. 볕 좋은 봄날, 나비가 날아와 살포시 엄마 곁에 앉아 있는 모습이 너무 예뻐서 그 모습을 시로 쓰셨다며 수줍게 읽어주시기도 하고 좋은 강의를 들으면 꼭 노트에 적어놓았다가 들려주시기도 한다. 나이가 들수록 엄마가 친구 같고, 연인 같다. 그래서 엄마가 나의 곁에 계시다는 것이 행복하고 그 행복이 오래오래 계속되기를 바란다.
어린 시절에 가장 무서웠던 악몽은 엄마가 돌아가시는 꿈이었다. 어찌나 생생했는지 자면서 심하게 울었던 모양이다. 울다가 깨어보니 꿈이어서 얼마나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던지, 지금 생각해도 아찔하다. 그런데 엄마를 떠올리면 코 끝이 찡해진다. 출가하여 가정을 꾸리고 살다보니 내 살기에 바쁘다는 핑계로 엄마를 위해 무엇 하나 제대로 해 드린 것이 없다. 문득 엄마가 언제까지나 내 곁에 계시지 않는다는 사실이 그저 악몽이 아닌 현실이란 걸 이제서야 깨달았으니 너무 한심한 생각이 든다. "나중에 더 잘 해드릴게요."라는 말이 얼마나 부질없는 약속인지, 서운한 마음을 내색 않는 엄마를 보며 전혀 눈치도 못 챘으니 나는 정말 못된 딸이었구나 싶다.
닭고기를 드시고 싶다는 엄마의 말씀이 마지막 유언이 될 줄 몰랐던 아들이 닭고기 대신 돼지고기를 사다드렸단다. 결국 그 한 때문에 평생 닭고기를 먹지 않는다는 사연을 보면서 마음이 아팠다. 살면서 절대로 이런 후회와 한을 남기지 않아야겠다. 이런 다짐을 할 수 있으니 얼마나 다행스럽고 감사한 일인지.
나의 엄마를 보면 코스모스가 떠오른다. 코스모스 꽃말은 '순정, 애정, 조화'라고 한다. 소녀 같은 엄마와 참 많이 닮은 엄마꽃이다.

<네이버 지식 in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