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정이란 무엇인가 - 자유롭고 평등한 사귐의 길을 찾아서
박홍규 지음 / 들녘 / 2025년 4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
신념이 다른 사람과 친구가 될 수 있을까요.
이 질문은 개인들의 우정을 흔드는 것이 무엇인가를 묻고 있어요. 친구가 아니면 적, 이분법적 사고는 매우 위험한데, 이러한 극단적 사고를 행동으로 옮기는 소수의 무리들이 사회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기에,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과의 관계를 되짚어볼 필요가 있어요.
《우정이란 무엇인가》는 '박홍규의 사상사'라는 부제가 달린 책이에요.
저자는 노동법을 전공한 진보적인 법학자이자 글을 쓰는 작가라고 하네요. 현재 시골에서 아내와 함께 작은 농사를 지으며 자유, 자연, 자치의 삶을 실천하고 있다는 저자는, "단 한 가지 소원이 있다면, 모든 사람이 친구인 세상을 만들기 위해 조금이라도 노력하다 죽는 것" (4p) 이라고 이야기하네요. 왜 지금, 우정이라는 주제로 한 책을 썼을까요. 그 이유는 저자가 생각하는 친구란 "단순히 친한 사이가 아니라, 자유롭고 평등한 관계로 맺어진 공동의 상대" (6p)이기 때문이에요. 앞서 모두가 친구가 되는 우정의 세상을 꿈꾼다는 저자의 소원은 평등과 자유, 자치의 세상을 바라는 마음인 거예요. 이 책에서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동서양 여러 사상가들의 우정론이 나와 있는데, 단순히 그들의 우정론을 설명하는 차원이 아니라 비판의 관점에서 살펴본다는 점이 색달랐네요. 계급사회에서 민주사회로 바뀌면서 이상적인 대인관계의 개념이 달라졌고, 우정에 대한 개념 역시 각 시대정신을 반영하고 있어요. 인상적인 부분은 키케로가 <우정에 관하여>라는 책에서 우정이 반사회적 행동을 낳을 수 있음을 최초로 경고했다는 거예요. 친구로서의 연대감이나 일체감은 우정의 본질적 요소가 아니라 부산물에 불과하며, 그 때문에 우정이 일탈하기도 한다는 거예요. 아무리 친구를 위해서라 해도 모든 행동이 허용되는 것은 아니라는 거죠. "키케로가 살았던 시대는 내란 상태라고 할 정도로 어지러웠습니다. 그런 시대를 산 그의 눈에 우정이란 동료나 동지와의 연대감이나 의리 같은 것이었고, 당시 로마의 혼란은 우정에 의한 행동으로 질서가 교란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171p) 공적인 자리에서 내 사람을 챙기던 그 사람, 공과 사를 구분하지 못하며 온갖 비리를 저지르다가 끝내 쫓겨난 권력자는 그릇된 우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아닐까 싶네요. 우정의 사상사를 톺아보면서 자유와 우정이 같은 의미이며, 새로운 공동체 정신으로서의 우정을 다시금 생각해보는 계기였네요. 마지막으로 저자가 정의한 우정이 지금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위기를 극복하는 하나의 길이라고 느꼈네요.
"우정은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연대를 연결합니다. 따라서 우정은 친구와의 연대임은 물론, 다른 사람들과의 연대이기도 합니다. 우정은 우리가 어떤 억압이나 속박도 없이 자유롭게, 또한 어떤 계급이나 위계도 없이 평등하게 친구로 살아가기 위한 삶의 지혜입니다." (35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