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레이첼의 시크릿 가든 - 꿈을 이루는 3주간의 마법노트
사토 도미오 지음, 김현영 옮김 / 동아일보사 / 2007년 6월
평점 :
절판
아침부터 울적했다. 기분이 안 좋을 때는 마치 내 자신이 바닥에 붙어버린 느낌이다. 왜 이렇게 기분이 울적한지 모르겠다. 아니, 모른 척했다. 나는 그냥 날씨 탓을 했다. ‘하늘에 먹구름이 끼어서 내 기분도 울적해지는거야. 저기압이니까.’
책이 도착했다. 꿈을 이루는 3주간의 마법노트 <레이첼이 시크릿 가든>
책 내용도 좋았지만 작가의 소개가 더 눈길을 끌었다.
“입버릇을 바꿔 삶을 변화시켜라.” 무심코 내뱉은 말이 인생을 바꿀 수 있다는 ‘입버릇 이론’ 강의로 일본 내에서 절대적 지지를 받고 있다고 한다. 이 책은 소설로 구성된 자기계발서이다. 레이첼이라는 꽃가게 아가씨가 마법사와도 같은 노신사 필립을 만나면서 알게 된 두 가지 마법을 통해 변화하는 이야기이다. 그 마법은 간단하다. 매일 아침 거울에 비친 자신과 가게 있는 모든 꽃에게 예쁘다고 말하는 것이다.
말의 힘이 매우 강력하다는 얘기를 듣고 양파를 물컵에 담아 키운 적이 있다. 하나는 ‘사랑양파’라고 적고 사랑한다,예쁘다 등의 좋은 말만 해주고, 다른 하나는 ‘미움양파’라고 적고 듣기 싫은 말만 해주었다. ‘미움양파’는 거의 화풀이용이었다. 근데 정말 신기하게도 ‘사랑양파’가 더 잘 컸다. 이 양파를 키운 이유는 그만큼 말이 중요하니까 우리 사랑하는 아이들에게 사랑과 격려가 담긴 따뜻한 말을 많이 해주자는 결심에서였다. 양파를 키우는 동안은 열심히 노력했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사랑양파’도 ‘미움양파’에게도 무관심해졌다. 시들어버린 양파와 함께 좋은 말만 해주자던 나의 결심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오늘, 나의 울적함을 핑계로 아이의 작은 실수와 장난에도 예민하게 반응했다. 보통같았으면 조용히 타일러도 될 일을 짜증을 냈다. 어른으로서 부끄러운 생각이 들었다. 또 한편으로 더 울적해졌다. ‘난 좋은 엄마가 되려면 멀었어.’라는 자책감도 들었다.
사람이 늘 즐겁고 유쾌할 수는 없겠지만 울적하다고 해서 화낼 필요는 없는데, 난 무엇에 대해 화내고 있던 걸까? 마치 습관처럼 “울적해.”라고 말한 것이 나를 더 울적하게 만드는 것은 아닐까.
기분에 대해 그냥 날씨 탓을 한 내가 무책임하게 느껴진다. 오늘의 기분은 내가 만들고 나의 행복은 나의 선택인 것이다. 그래, 레이첼처럼 만약 내 삶이 바뀐다면 그 시작은 바로 오늘이야.
오늘의 울적함일랑은 털어내고 내 자신에게, 나의 사랑하는 가족들에게 “오늘도 사랑해.”, “오늘도 예쁘네.” 라고 말해줘야지. 매일 빼먹지 말고.
그동안 잊고 있었던 ‘사랑양파’와 ‘미움양파’가 떠올랐다. 우리는 매일 밥을 먹고 힘을 내지만 정말 힘이 날 때는 사랑하는 사람의 따뜻한 말을 들을 때란 것을. 양파도 아는 사실을 나는 잊고 있었다.
레이첼의 마법 주문처럼 우리 삶은 신비롭다. 내가 행복하다고 말하는 순간 나는 정말 행복한 사람이 되는 것이다. 행복해서 웃는 것이 아니라 웃기 때문에 행복해진다는 말처럼 행복해지려면 긍정적인 말버릇을 가져야 한다. 나는 레이첼의 마법을 믿는다.
내가 만나는 모든 사람들에게 선물을 주듯 아름답고 좋은 말을 해야지.
보랏빛 책 표지 속에 파란 하늘빛 책이 들어 있다. 나의 기분도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