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악하악 - 이외수의 생존법
이외수 지음, 정태련 그림 / 해냄 / 2008년 3월
평점 :
이외수 님의 책을 읽는 이유가 뭘까?
만약 처음 이외수 님의 책을 보려는 사람이라면 잠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뭔가 대단히 감성적이고 아름다운 글들을 원해서라면 다른 시집을 보기 바란다.
간혹 그의 글은 거친 감성이 드러나기 때문에 다소 비위에 안 맞는 사람도 있기 때문이다.
누군가의 글을 볼 때, 있는 그대로 봐줄 수 없다면 차라리 안 보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책 속 그의 말을 빌리자면 어떤 사내가 이외수 산문집 <여자도 여자를 모른다>를 읽고 자기 블로그에 비난의 글을 올렸다고 한다. 자기가 여자도 아니면서 여자에 대해 잘 아는 척 책을 냈다고 말이다. 그 글을 읽고 이외수는 말했다. 그럼 파브르는 곤충이라서 곤충기를 썼냐?
혼자 실실 웃음이 났다. 내가 이외수 님의 책을 읽는 이유는 간단하다. 그냥 좋기 때문이다.
산문집 <여자도 여자를 모른다>에 이어 <하악하악>은 정태련 님이 그림을 그리고 이외수 님의 짤막한 글이 숫자 하나씩을 달고 있다. 성미 급한 사람은 책의 어느 부분을 펼쳐도 읽는 데 막힘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감기로 코가 막히지만 않았다면 책을 넘길 때마다 향기를 맡을 수 있다. 향긋함도 좋고 눈도 즐겁다. 정태련 님의 민물고기 그림은 세밀화여서 실제 사진보다 더 선명하고 고운 느낌이 든다. 책 속 여백이 물이 되어 민물고기들이 헤엄치는 것만 같다.
송사리, 피라미, 가물치처럼 친근한 녀석도 있지만 처음 보는 녀석들이 더 많다. 민물고기들의 존재가 우리 일상에 무슨 상관이 있을까 싶지만 가만히 바라보고 있으면 자연을 생각하게 된다. 나 역시 자연 속에 하나의 피조물인 것을.
한국의 민물고기 65종을 그려내기 위해 무려 3년 간 전국의 산하를 다녔다는 정태련 님의 그림처럼 이외수 님의 글도 삶의 정수를 느끼게 한다. 우리에게 잊혀진 민물고기들을 기억하게 해주는 그림과 잊혀진 감성을 자극하는 글은 어쩐지 잘 어우러진다.
나는 개인적으로 문학평론가들이 싫다. 자칭 그런 일을 즐기는 사람들도.
한 줄의 글이 그리 쉽게 쓰여지는 것이 아닐 텐데 한 권의 책은 오죽할까.
이미 독자들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글이라면 진실이 통했다고 생각한다. 간혹 진실이 통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해서 작가 탓을 하는데 정말 그럴까?
세상에 비평가는 많지만 비평가가 좋은 작가인 경우는 드물다. 자신이 글을 담아낼 그릇이
안 된다고 해서 남의 그릇까지 깰 필요는 없지 않을까 싶다. 분명 작가라고 칭할 수 있는 사람은 삶의 뼈 저리는 아픔을 한 줄의 글로 표현할 줄 아는 사람일 것이다. 남의 글을 비방해서도 안 되지만 아무나 작가가 되는 것도 아니다.
예전에 이외수 님의 책을 읽으면서 글맛에 감탄한 적이 있었다. 글 잘 쓰는 사람들은 술술 글을 쓴다고 생각했는데 아니었다. 하나의 작품이 완성될 때까지 혼자 스스로를 가두고 몇 십 번을 고쳐가며 쓴다고 들었다. 그래서 흔히들 탈고를 출산의 고통과 비유하는 것 같다.
힘들게 낳은 자식을 남들이 못생겼다고 흉본다면 가만히 있을 부모가 어디 있겠는가. 정말 자식과 같은 작품이라면 누구의 인정을 받지 않아도 존재 의의는 충분하다.
이 책을 읽는 누구라도 글이 맘에 안 들면 혼자 욕하고 말기를 바란다. 세상에는 나처럼 그냥 이외수 석자 이름을 보고 책을 읽는 사람도 있으니까. 그의 글을 좋아하지만 그의 생각까지 좋아할 필요는 없다. 나와 다른 생각이 담긴 글이라도 그 순간 생각하게 만들면 그것으로 만족한다. 부디 너그러운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길 바란다.
하악하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