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침을 깨우는 한자 - 한자의 부와 획에 담긴 세상을 보는 혜안慧眼
안재윤.김고은 지음 / 어바웃어북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어렸을때부터 한자와 꽤 친근하게 지낸 편이였다. 내가 다닌 국민학교(초등학교 아니였다는..)에서는 매일 한자를 공부시켰고... 사설을 스크랩하게 했고... 그때 당시 사설에는 한자가 꽤 많아 필연적으로 한자를 익혀야 했다. 또 매달 한자경시대회같은걸 열었기 때문에.. 유난히 상장욕심이 많은 나의 눈을 반짝이게 만들었다. 하지만 그때는 부수와 획수, 또 그것을 통해서 정말 두껍던 옥편을 찾는 방법... 그리고 쓰는 방법 등등을 배우고 명화를 보며 이 작품의 이름은 무엇이고 화가는 누구인지를 외우는 수준으로 공부했던거 같다. 그리고 좀 더 커서는 일본어를 하게 되면서 또 한자와의 인연은 끊어지질 않았다. 물론 일본 한자는 우리와 다르게 조금 간략한 편이고 아무래도 많이 접하다보니 어느새 나도 일본한자가 편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가끔 우스개 소리로 한자는 중국에서 만들어져 한국을 통해 일본으로 건너갔지만... 한자를 제일 어렵게 쓰고 있는 나라는 한국이라고 할 정도로 우리는 정자체를 사용 한다. 공부를 할때는 그게 참 힘든 과제였는데... 이 책을 읽다보니 어린시절 반강제로 외웠던 부수와 또 정자체로 처음부터 익혀서일까? 그 한자를 분석해 뜻을 되세기는 과정에서는 더 많은 것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단순하게 외워오던 한자에 여러가지 뜻이 내포되어 있음을 알수 있었다.
仁
이 한자는 누구나 알만한 한자이다. 대부분 이 한자를 '어질인'으로 읽고 공자의 중심사상인것은 알 것이다. 하지만 전에 읽은 책에서 공자는 '仁'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사랑이라고 답했다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그 비슷한 이야기가 이 책에서는 더 흥미롭게 나온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405/pimg_768974157750097.jpg)
내가 어렸을때와 다르게 요즘 한자교재들은 한자의 형성원리라던지 제자원리같은 것을 재미있게 풀어주는 책들이 많다. 이 책은 한자를 공부하는 방법을 이야기하는 책이라기보다는 그 것에서 좀 더 나아가 한자를 통해 세상을 보고 깨닫는 길을 열어준다. 그래서 아침 한자 사이에 '깨우는' 이라는 문구가 들어갔나보다. 단순히 고사성어를 이야기하는 책이라고 말하기에 또 다른 것이 한자 그 자체에 충실하게 한자를 분석하고 그 속에서 길을 열어주는 그런 책이다. 그래서 하루에 하나씩 다시 돌아보며 나 자신을 깨우기 위해 서재가 아니라 내가 가장 좋아하는 공간에 다시 가져다 둘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며 내가 제일 좋아하는 글귀중 하나가 된 말을 마음에 다시 세겨보고 싶다...
自强不息
결과를 탓하기 전에 가슴 깊이 자문하라.
"원없이 땀을 흘렸는가?"
[네이버 북카페를 통해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