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중톈, 사람을 말하다 - 인생의 지혜를 담은 고전 강의
이중텐 지음, 심규호 옮김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3년 1월
평점 :
품절
"지식은 사회에 속하고, 지혜는 개인에게 속한다. 지식은 주고받을 수 있지만 지혜는 오직 깨달을 수 밖에 없다"
아.. 13억 중국인의 마음을 사로잡았다는.. 이중텐의 말은 정말 가슴에 사무친다. 지혜로운 사람이 되고 싶지만.. 누군가에게 배워서 익힐수 없기에 답답한 나이기에 더욱 그러하다. 하지만.. 지혜로움을 볼수는 있다. 보고 따라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따라하다보면 언젠가는 내 것이 되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에 늘 책을 읽곤 한다. 이번에 선택한 책은 중국의 역사와 고전속에서 찾은 인생의 지혜를 이야기하는 [사람을 말하다]이다. 사람들이 모여서 살아가는 세상.. 그리고 시간들을 기록한 역사.. 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진 고전.. 그 속에서 깨달을수 있는 지혜는 무궁무진하다.

한번도 살지 않은 내일이 불안한가라 - 주역의 계시(啓示)
배척할 것인가, 포용할 것인가 - 중용의 원칙
죽기로 싸우면 이길 수 있는가 - 병가의 사고(思考)
약자라고 포기할 것인가 - 노자의 방법
자신의 모습을 잃어버리지 않았는가 - 위진의 풍도(風度)
삶의 지혜는 성인들만의 것인가 - 선종의 경계(境界)
누구나 한번쯤은 생각해본적이 있을 화두이다. 고전을 풀어서 이야기해주고, 그 속에 일화를 소개해주기도 하여 흥미진진하게 읽어나갈수 있었다. 거기다 마치 내가 강의를 직접 듣고 있는 것처럼.. 저자가 질문을 던지는 순간들마다 스스로 답을 찾아보는 시간이기도 했다. 내가 제일 인상깊게 읽은 것은 바로 선종에 대한 이야기이다. 마치 선문답 같은 이야기.. 하지만 그 속에서 길을 찾아가는 사람들에게 늘 호기심을 갖고 있어서 나는 선종에 대해 꽤 관심이 있는 편이다. 그리고 날 사무치게 했던 지혜에 대한 이야기 역시 선종을 소개하며 등장한다. 선종은 배우는 이는 해안이 필요하고 깨달은 이 또한 기지(機知)가 필요하다고 한다. 기지.. 경우에 따라 재치 있게 대응하는 지혜.. 얼마나 유연한 앎이고 깨달음이란 말인가.. 일자무식이고 허드렛일이나 하는 행주였던 혜능은 게송을 지었다는 자신을 나무라는 장일용에게 이런 말을 남겼다고 한다. "하하인에게도 상상지가 있고, 상상인에게도 의와 지가 없을 수 있습니다" 이 말은.. "비천한 사람이 오히려 총명하고, 고귀한 사람이 가장 우둔할 수도 있다"라는 뜻이다. 뭐 익숙한 말로는 사람위에 사람없고 사람밑에 사람없다 정도..? ㅎ 사실 이 말을 들으면서 내가 배워야 할 지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