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프지 않은 날이 더 많을 거야 - 삶에 서툰 나를 일으켜준 한마디
김지수 지음 / 흐름출판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인생은 사건이 아니라 반응의 총합이다..라는 말을 좀 더 발전시켜본.. "인생은 리액션이다" 왠지 이 말에 참 공감이 간다. 얼마전 읽은 책.. [마음을 훔치는 사람들]에서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었다. 내가 상대의 말을 경청하고, 상대의 입장으로 반응하면 상대의 마음을 얻을수 있다고.. 인생에 휩쓸리지 않고 중심을 잡기 위해서는 왜 내 마음대로 되지 않는걸가 고민하기보다는.. 이제는 이미 일어난 일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반응하느냐를 고심하며 살아가고 싶다. 나와 남 그리고 우리가 함께 살아가는 세상을 사랑하고 경험하고 반성하고 그래서 나만의 내공이 담긴 '좋은 반응'을 만들어 익히고 싶다.
"닦고 조이고 기름치자!" 나도 이 공업적인 구호를 마음에 새기고 싶어진다. 이 책의 저자인 김지수님은 소설가 김훈님의 작업실에서 이 글을 보았다고 한다. 어떻게 글을 저렇게 잘 쓸까.. 라며 감탄의 눈으로 작가들을 바라보고 있었지만 그들 역시 절박한 마음으로 그리고 성실한 자세로 책상에 앉아 최선을 다 하고 있었다. 사실 요즘의 나도 일을 척척 처리해내는 동료들을 보며 막연한 질투에 사로잡히곤 했다. 그러면서도 쑥쑥 늘지 않는 내 능력에 답답해하면서 요즘은 도리어 한껏 게으름을 피고 있었다. 나 스스로는 노력한만큼 했다고 생각했지만.. 글쎄? 과연 그랬을까? 그래서.. "성실하다는 것은 가장 높은 수위의 자긍심"이라는 말에 나의 뻔뻔한 마음이 콕콕 찔리는 것만 같았다.
"저 말을 내 가슴에 움켜쥐자" 이 말 참 좋다. 책을 읽으며 나도 이 말을 참 자주 사용하게 되었다. 아 이 말.. '내 심장을 움켜쥐는걸..' 하며.. [도시의 사생활]로 처음 만났던 김지수님의 신작 에세이는 인생의 길목에서 만난 말들, 그 말들이 다가와 나 자신에게 일으킨 기적을 담고 있다. 나도 이 책을 읽으며 절로 움켜쥐게 된 말들을 많이 만났다. 그 중에 가장 나에게 큰 울림을 주었던 것은 바로.. "아픈날이 많았어도 앞으로 아프지 않을 날이 더 많을거야"라는 어머니의 위로. 지나온 시간들을 생각해보면 내가 아팠던 기억들이 가득한것만 같아도 가만히 생각해보면 전혀 아니다. 그런 순간들보다 웃고 행복해했던 시간들이 훨씬~~ 정말 훨씬 더~~ 많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리고 앞으로도 그럴것이라는 것을..
사실 나는 평범한 사람들의 소소한 이야기들.. 사랑, 우정, 가족의 이야기에 잘 공감하지 못하는 편이다. 그런 책, 드라마, 영화를 별로 선호하지 않는다. 내가 즐기는 것들은 대부분 극적이고, 또 환상의 세계이기 쉽다. "자기 마음이나 타인의 마음을 공들여 헤아리고 정성스럽게 표현할 줄 안다." 라는 이야기를 읽으며 나를 많이 돌아보게 된다. 아무래도 나는 나 자신뿐 아니라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많이 부족한 것이 아닐까? 그래서 사람과의 관계를 어색해 하는지도 모르겠다. 어떻게 해야 할까..? 나름 고민하고 있던 중에.. 책속에서 답을 찾았다. 삶이라는 것은 결국 사람과 사람사이의 관계로 이어질수 밖에 없고 그 관계의 강을 건너는데는 세 개의 단어만 있으면 충분하다고 한다. 바로 "미안해, 고미워, 사랑해." 물론, 나도 이런 말을 잘 하긴 한다. 하지만 예의를 차리느라.. 혹은 입버릇처럼 할때가 더 많은거 같다. 한마디로 영혼없는 리액션일때가 더 많았다. 내가 익히고 싶은 '좋은 반응'의 첫번째 목록이 이것이 되지 않을까? 영혼을 담아서 제대로 "미안해, 고마워, 사랑해"를 전하고싶다. ㅎ
"결혼하면 바보처럼 살아. 내 말 무슨 말인 줄 알지? 당신은 똑똑하니까 잘 알 거야. 세상만사 성급하게 바로잡으려 들면 될 일도 안돼. 알아도 모르는척, 몰라도 아는척..... 그냥 바보처럼 살아. 그러면 결국은 행복해져. 알았지?" 윤여정님의 이 충고를.. 들으며 문득 내가 결혼할때 이모가 해준 말과 정말 비슷하다는 생각이 든다. 성격이 꽤 급한 편인지라.. 남편과 대화를 할때도 틀렸다 싶으면 자꾸 말을 끊고, 때로는 빠득빠득 덤비고(?), 당장이라도 검색을 해서 정답을 찾아야 하고, 가끔은 우리사이의 이야기는 다 녹화를 해야 한다고 한탄하기도 한다. 그때는 그렇게 중요하게 생각하고, 상처주고 상처받고 하지만.. 막상 또 지나가면 그때 뭐때문에 그랬었지.. 할때가 더 많다. 정말이지.. "난 똑똑한 여자니까, 바보처럼 살자" 이 말을 내 가슴에 움켜쥐다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