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베껴쓰기로 연습하는 글쓰기 책
명로진 지음 / 퍼플카우콘텐츠그룹 / 201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글쓰기.. 어렵게만 생각했는데, 몇일사이에 읽은 두권의 책으로 글쓰기와 매우 가까워진 것 같다. '나를 치유하는 글쓰기'를 통해 나와는 멀게만 느껴지던 글쓰기가 알고보면 나와 가까운 친구가 아니였나.. 하는 시각을 정립하게 되었다면, [베껴쓰기로 연습하는 글쓰기 책]을 통해서 글쓰기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배울수 있었다. 지금까지 거의 매일 일기를 써왔고, 최근 몇년은 서평쓰는 것에 꽤 열중해왔는데도.. 글쓰기에 대해 미처 몰랐던 이야기들이 너무나 많았고 알면 알수록 더더욱 글쓰기에 빠져들어가는 기분이다.
어학을 공부할때면 외국인의 발음을 흉내내곤 한다. 굳이 어학이 아니라도 '어깨너머로 배운다'라는 말도 있지 않은가? 글쓰기 역시 마찬가지이다. 좋은 글을 베껴쓰면서 그것을 내 자신에게 각인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책은 매 장마다 베껴쓰기를 직접 할 수 있는 지면이 준비되어 있어, 나 역시 그것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다보니 베껴쓰기란 '저자가 의도한 정신적 경로를 그대로 따라가는 것'이라는 말을 실감할 수 있었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에 [도쿄 미술관 예술 산책]도 읽어보았는데, 뭐랄까.. 두권의 책에서 느껴지는 명로진씨의 글솜씨는 정말 독특하다. 뭐랄까.. 톡톡 튀는 콜라같은 느낌이라고 할까? 명로진님의 글을 베껴쓰는 것도 재미있을 듯 하다.
그러고보니 도입부를 잘 썼는지 모르겠다. 사람들의 마음을 잡아두기 위해서는 튀는 시작을 해야 한다고 하는데, 이게 생각보다는 쉽지 않다. 예르 제시된 류승완님의 글이 아직도 생각난다. 마음산책이라는 출판사에서 출판된다는 것과 동생인 류승범을 잘 이용한 도입부였는데.. '마음산책이 산책길을 잘못 들어선거겠지 했는데', '잘 키운 동생 하나 브래드 피트도 안 부럽다!' 같은 문장들을 보며 '아 읽고 싶다'라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어떤 글을 써야 할지 고민될때는 '자신부터 분석하라'라는 제안은 조금은 어렵게 느껴졌다. 내가 가장 많이 하는 일중에 나의 쓸거리가 있다라..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일본에서는 사소설이라는 장르가 상당히 자리잡고 있다.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내는 것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아마 유미리라는 재일교포 작가의 작품들이 가장 유명할 것이다. 사소설이라는 것이 바로 자신을 분석함으로서 만들어진 것이 아닐까? 그러기위해서는 자신을 솔직히 드러내야 할텐데.. 아마 나는 그 부분에서부터 벽을 갖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문장을 어떻게 구성하고 글을 어떻게 써야 할지 매우 구체적인 조언들이 있어서 좋았다. 특히 글을 쓰는 목적을 생각해야 하는데.. '우리 글을 사랑해주는 사람, 우리 글을 읽어줄 사람을 위해 쓰는 것'이라는 것을 잊지 않아야 한다. 그래서 읽을 사람을 위해 문단을 나누어 주고, 한호홉으로 읽을 수 있게 끊어주고, 쉬운문장으로 쓰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우리말에 대해서도 제대로 알아야 한다. "조선 말은 끝까지 들어야 한다"라는 조상님들의 말은 그냥 웃자고 하는 게 아니다. 서술어가 문장 맨 뒤로 오는 우리말의 구조상 중요한 정보를 뒤로 두어야 한다. 그리고 생략되는 문장 구조와 조사가 많고, 어미가 발달해있고, 꾸미는 말은 꾸밈 받는 말 바로 앞에 위치해야 하고, 사람이 능동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상황으로 보는 등.. 우리말에 대해서도 잘 알아야 한다. 아 그러고보니 다시 문장이 길어졌다. 자꾸 문장을 길게 이어붙이지 말고 제때제때 끊어서 '다.다.다.'를 사랑하라고 했는데.. ㅎ 역시 이런 부분을 수정할때는 책에서 나온대로 퇴고할때는 소리내어 읽어라라는 조언이 딱일듯 하다. 긴 문장을 스스로 읽다가 숨이 막혀봐야..?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