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빅데이터, 승리의 과학 - 빅데이터는 당신이 무엇을 선택할지 알고 있다
고한석 지음 / 이지스퍼블리싱 / 2013년 4월
평점 :
품절
영화 머니볼은.. 경험이나 눈썰미, 직감등으로 선수를 평가하던 시절.. 통계전문가를 영입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실화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는 철저히 데이터에 의존하여, 1달러당 출루율이 좋은.. 즉 승리에 기여할 수 있는 선수들을 팀에 합류시켜 기적을 만들어낸다. 이와 비슷하게 철저하게 데이터에 기반하여 진행된 오바마의 선거운동을 '머니볼 선거운동'이라고 한다.
"오바마 캠프의 테크놀로지팀이 구축한 시스템은 평균 초당 4GB의 용량을 처리했으며 1초당 1만 개의 작업요청을 수행하고 평균 2,000대의 서버를 3개의 데이터센터에서 운영하였고 전체 사용한 데이터의 저장 용량은 180테라바이트였으며 총 처리한 작업요청은 85억 개 였다"
201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한 오바마 선거 캠프에서 테크놀로지팀의 운영그룹 리더였던 스콧 반델플라스의 트위터에는 이러한 메세지가 남아있다. 대선을 승리로 이끄는데 큰 공을 세운 그가 구축한 빅데이터의 양은 내가 상상할 수 있는 한계를 벗어난 수준이였다. 빅데이터에 대한 책을 몇권 읽어보기는 했었는데, 이번처럼 빅데이터를 활용한 선거전략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것은 처음 접해보았는데 정말 빅데이터의 힘이 제대로 느껴졌다.
생각해보면.. 세상은 그 자체로 빅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요즘처럼 스마트해진 세상속에서는 나도 모르게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지기도 한다. 하지만 그렇게 수집된 데이터들은 어떻게 보면 '빅 쓰레기더미 (Big Garbage)'일 수 있다. 이 자료들이 가치를 갖기 위해서는.. 즉 빅데이터로 정립되기 위해서는 전략과 목표가 필요하다. 오바마 재선 캠페인을 총괄 지휘한 짐 메시나는 스티브잡스, 에릭 슈미트, 스티븐 스필버그등을 만나 선거전량을 수립하게 되는데.. 이를 바탕으로 엄청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마이크로 타기팅'이라는 전략을 수립한다.
사실 마케팅 담당으로 일을 하게 되면서 수많은 통계자료를 보게 된다. 그리고 보통 평균의 수치를 찾게 되는데.. 흥미로운 것은 평균치의 인간은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요즘처럼 다양한 욕구와 필요가 혼재되는 세상에서 평균값에 근거한 마케팅은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평균이라는 익명의 존재가 아닌.. 자신의 고유한 이름과 취향을 가진 존재로 소비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빅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번에 읽은 책 [빅데이터 승리의 과학]은 이러한 전략을 짜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