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삶의 한가운데서 초한지를 읽다 - 전쟁같은 삶을 받아낸 천 개의 시선
신동준 지음 / 왕의서재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초한지 하면.. 한고조 유방과 서초패왕 항우가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그리고 그들 사이의 천하쟁탈전을 모티브로 하고 있느 ㄴ장기와 토사구팽, 사면초가 같은 사자성어, 그리고 항우와 우희의 이별을 담은 패왕별희까지 자연스럽게 연상된다. 그리고 어린시절 삼국지, 수호지, 서유기와 함께 즐겨 읽던 책이 초한지이다. 중국고전의 매력은.. 책에 대한 감상이 나와 함께 성숙해질 수 있다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책속에 등장하는 수많은 인물들에게서 예전에 미처 몰랐던 매력들을 찾을수 있고, 그때그때마다 그들의 선택에 대한 나의 평가도 달라지기 대문이다.
이번에 읽게 된 [삶의 한가운데서 초한지를 읽다]는 500페이지 정도의 한권의 책은 초한지의 주해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처음에는 정말 삽화하나 찾기 힘들게 꽉 차있는 글자들이 버겁기도 했지만, 읽으면 읽을수록 내가 읽었던 초한지속의 사건들의 앞뒤 맥락을 맞춰나갈수 있다는게 즐거웠다. 사실 초한지는 삼국지와 달리 정본이 없기에 흥미위주의 역사소설로 남기 쉽다. 그래서 초한시대의 역사적 사실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 이 책을 집필한 신동준님은 고전연구가이자 역사문화 평론가이다. 이 분을 [조조 사람 혁명]을 통해 한번 접해본적이 있는데 탁월한 식견과 날카로운 분석력이 매우 인상적이였다. 물론, 내가 알고 있는 사실과 상충되는 부분들도 몇군데 있었지만, 역사란 결국 해석하는 자의 몫이기에 이런 방식으로 인식하는 방법도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역사적 사실에 충실하고자 했던 사마천의 [사기]나 사마광의 [자치통감]이 아닌 성리학적인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윤작한 책을 선호했던 조선시대의 선비들의 이야기는 내가 알고 있는 사실만이 진실일꺼라고 생각하는 나 자신을 반성하게 만들었다. 제대로 된 역사를 알기 위해서는 수많은 학자들의 입장을 수렴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초한시대는 불과 7년정도 였으나 일진일퇴의 공방이 벌어지던 시대였다. 유방과 항우는 2년여의 시간동안 크고 작은 전투를 72차례라 벌였을 정도였다. 물론 연전연패를 거듭하던 유방이 최후의 승리로 천하를 거머쥐게 되었지만.. 그렇게 하룻밤 사이에 생명의 경각이 바뀌던 난세를 누비며 살아간 이들에게 지혜를 빌려보고자 하는 것은, '무한경쟁'과 '적자생존'이 화두인 요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탁월한 선택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