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자인은 다 다르다 - 유럽의 길거리에서 만난 그래픽 디자인 ㅣ 디자인은 다 다르다 1
황윤정 지음 / 미술문화 / 2013년 8월
평점 :
"같은 유럽인데 왜 이렇게 디자인이 다 다른가요?"
이런 질문으로 시작하게 된 책.. [디자인은 다 다르다] 이 책의 저자 황윤정님은 '삼보일찍(세걸음에 한컷)'이라는 놀림을 받을 정도 나라마다 다른 길거리 그래픽 디자인에 관심을 갖데 된다. 거기다 사물, 시설, 행태, 개념 등을 일반 대중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상징적인 그림으로 나타낸 일종의 그림문자인 픽토그램마저 나라마다 독특한 개성을 갖고 있다는 사실까지 깨닫게 되는데.. 디자인 답사중에 갖게 된 의문에 대한 답을 역사와 사회 그리고 문화적 전통에 연계하여 찾아냈다.
척박한 자연환경과 늦은 산업화를 이룬 독일은 대량생산을 위한 표준화와 기하학적인 형태를 개발할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독일의 그래픽 디자인은 기능적이고 효율적인 면을 강조한다. 직선적인 도형과 폰트를 사용하고, 단순한 색배합을 쓰는 독일.
하지만 이웃나라 스위스는 독일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자신만의 스타일을 구축했다. 기능성뿐 아니라 심미성까지 놓치지 않은 스위스 디자인은 공용어가 4개나 되는 환경속에서 또 하나의 변화를 갖게 된다. 그것은 바로 여러 언어를 함께 표기하기 위한 그리드 시스템의 발전이다. 그래서 스위스를 가면 독일의 딱딱함이 아니라 자연과 잘 어우러지는 가운데 느껴지는 단정함이 느껴지는 것이 아닐까?
근면한 노동과 소박한 생활을 강조한 칼뱅교리의 영향을 받은 네덜란드는 작지만 장식성 높은 소품과 정교한 그림을 갖게 된다. 거기다 자연환경의 영향이 더해지면서 네덜란드의 그래픽 디자인은 화려하지만 선명하고 명료한 형태를 갖게 된다.

가독성은 떨어지지만 아름다운 프랑스와 전통과 현대의 공존을 보여주는 영국까지.. 독일, 스위스, 네덜란드, 프랑스, 영국에서 만난 그래픽 디자인은 정말 달랐다. 책을 읽다 한장씩 골라낸 디자인들을 전혀 무리없이 구별할 수 있을 정도였는데.. 생각해보면 유럽여행중에 도시의 이미지와도 비슷하다. 공공건물이나 길거리에서 흔히 보는 디자인에서도 그 나라의 문화가 잘 드러나 있다는 것이 재미있다. 과연 우리나라의 그래픽 디자인은 어떨까? 궁금해지기도 했는데.. 맺는 말을 보니 아직까지는 여러나라의 스타일이 그저 혼재되어 있는 상황인듯 하다. 얼마전 읽은 책에서.. 일본의 도시 이미지를 그들만의 아름다운 글씨체가 느껴진다라고 표현한 걸 본적이 있다. 우리 역시 고유한 문자까지 있는 나라이기에.. 우리의 스타일을 찾고자 한다면 좀 더 쉽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