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직 읽기만하는 바보 - 1323청춘들의 인생을 바꿔줄 ‘기적의 독서법’
김병완 지음 / 브레인스토어 / 2013년 9월
평점 :
제대로 된 독서법의 필요성을 이야기하는 [오직 읽기만 하는 바보] 읽기만 한다면 정말 바보가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읽기가 input이라면 쓰기는 output이다'라는 말로 요약해볼 수 있는 책이랄까..? ㅎ 사실 이 책을 통해서 자신만의 독서노트를 만드는 법을 알게 되어는데.. 책 읽기 전과 후의 자신의 견해를 정리하고, 자신이 저자였다면 이 책을 저자와 어떻게 썼을까 고민해보고, 나만의 언어로 한문장으로 표현해보라는 조언이 있었다.
어렸을때부터 독후감을 쓰라는 압박을 늘 받았지만.. 참 꾸준히도 쓰지 않았었다. 하지만 나이가 들어가면서 예전처럼 한권의 책을 여러번 읽을 시간도, 또 기억력도 조금씩 떨어져 갔다. 그래서 서평단을 신청하면서 의무감으로라도 서평을 쓰려고 노력해왔다. 그렇게 몇년을 해오다보니.. 슬슬 또 서평을 쓰는게 힘들고, 솔직히 지겹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하지만 딱 그 즈음에 만나게 된 [오직 읽기만 하는 바보]는 다시 한번 나의 흐트러진 마음을 다잡아 주었다.
독서의 목표는 지식의 확장이 아니라 무의식을 포함한 인간의 생각 정신의 큰 덩어리인 의식의 확장이다. 사실 지식으로 따지자면.. 손안에 있는 스마트폰이 책을 꽤 읽은 편이라고 할 수 있는 나보다 우월하다. 따라서 책을 단순히 읽는 것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내 인생에 어떻게 반영하고, 나 자신을 성장시킬 것인가가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을 가장 잘 도와주는 것이 바로 쓰기라는 것은 나 역시 짧은 기간이였지만 그 경험을 통해 잘 느끼고 있다. 거기다 세종대왕, 다 빈치, 처칠, 모택동, 다신 정약용 선생등의 독서법을 보자면 필기를 빼놓을 수 없기도 하다. 또한 넓게 다양하게 읽는 고래 독서법, 실용을 위주로 하는 꿀벌 독서법에도 필기는 기본이다.
"21세기 문맹자는 글을 읽을 줄 모르는 사람이 아니라 학습하고, 교정하고, 재학습하는 능력이 없는 사람이다." 라고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가 말했다. 21세기 문맹자가 되지 않기 위해.. 좀더 효율적인 나만의 독서노트를 구상하고, 지속적인 노력과 사색을 통해 나 자신을 성장시키는 일을 멈추어선 안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