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소드 스타일 - 1등 기업과 싸우는 작은 회사의 7가지 집착
에릭 라이언 & 애덤 라우리 지음, 구세희 옮김 / 한빛비즈 / 2013년 9월
평점 :
절판
청소의 결과가 아니라 전과정을 깨끗하게 만드고자 했던 메소드는 현대적인 디자인과 친황경제품이라는 개념으로 만들어진 청소용품 회사이다. 사실 제조업.. 특히 비누나 세제같이 다국적 기업들의 지배력이 절대적인 분야에서 메소드의 비약적인 발전은 놀라운 일이 아닐수 없다. 여기에는 어떤 동력이 작용한 것일까.. 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는 [메소드 스타일]
그들은 이 책을 통해 일곱가지 집착을 알려준다. 전략도 아니고 집착이라고 표현하는 이유는 그들의 창의적이고 당돌한 문화를 회사를 넘어 일상생활에까지 끌어들여야 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 책 자체도 독특하면서도 유머러스한 문체로 이루어져 있어 읽는 내내 메소드 답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네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그 끝은 창대하리라는 말처럼 그들의 가장 미약했던 시기부터 시작되는 하지만 창대하기 까지 그들이 겪었던 수많은 오류와 실수들까지 빠짐없이 담겨져 있기에 그들의 성공이 인상깊은지도.. ㅎ
개인적으로는 첫번째 집착이 가장 눈길을 끌었다. 어느 기업이나 자신만의 고유한 기업문화를 형성하고자 한다. 메소도 역시 그러했고, 그들은 입사시험부터 새로운 사원이 자리잡고 메소드의 일원이 되는 과정을 유쾌한 기업문화로 정립시켜놓았다. 하지만 점점 규모가 커지면서.. 기업문화가 흔들린다는 걸 느낄때 브랜드 철학을 더욱 강조하게 된다. 그들은 자신만의 문화 즉 독립적인 사고방식과 자신감 그리고 재미를 추구하는 브랜드 철학을 유지하기 위해 꼭 덩치가 작아야 할 필요가 없다는 것 까지 체득하게 된다. 또한 즐거운 기업 문화를 갖고 있기에 이를 더욱더 회사밖 생활까지 확장시켜나가 직원들의 역량을 끌어낼 수 있지 않았을까?
특히, '예, 그리고'라는 표현을 쓰는 것은 그들의 독창성을 더욱 더 키울수 있는 길이 아닐까 한다. 그 어떤 아이디어에도.. '그러나'가 아니라 '그리고'라고 받는 것.. 자신의 연약한 아이디어를 동료들이 더 강하게 만들어줄 것이라는 믿음을 갖게 하는 메소드의 철학이 있기에 혁신적인 아이디어 상품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을 것이다.
책을 다 읽고 나니 처음 메소드 제품을 선물받았을때가 떠오른다. 미니멀하면서도 예쁘고 아기자기한 디자인이 제일 먼저 눈길을 끌었고, 친환경재료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인상적이였다. 보통 먹고 마시고 바르는 것에는 유기농이나 친환경 제품들을 선호하면서.. 내 주위를 청결하게 하는 것에는 왜 그런 생각을 하지 못했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결국 다 내가 호흡하고, 내가 만지고 그래야 하는거니 말이다. 이런 인상을 갖게 하는 그들의 제품에 담겨져 있는 메소드의 집착.. 역시 독창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