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의 차이를 만드는 독서법, 본깨적
박상배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3년 9월
평점 :
품절
인생의 차이를 만드는 독서법.. <본깨적> 이는 '저자의 핵심을 제대로 보고(본 것), 그것을 나의 언어로 확대 재생산하여 깨닫고(깨달은 것), 내 삶에 적용하는(적용할 것) 책읽기를 의미한다.' 본깨적은 책을 통해 변해가는 사람과 조직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된다. 독서법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 일단 독서가 왜 필요한지를 이야기하는 것이다. 미국 뉴욕시 교육위원회에서는 책읽는 전통을 물려준 가문과 그 반대인 가문사이에 나타난 격차를 조사한 적이 있다고 한다. 그 결과는 충격적이였는데.. 나에게 책읽는 생활 습관을 물려준 부모님과 할아버지가 있었다는게 참 다행이라는 생각까지 들었다. 하지만 그런 습관을 물려받지 못했다고 해서 좌절할 필요는 없다. 자신부터 후손에게 도움이 되는 유산을 물려주면 되는 것이 아닐까? 책을 읽으며 일단 자신의 삶부터 바꾸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나는 책을 정말 깨끗하게 본다. 책띠마저 깨끗하게 관리하는 편이라, 집에 온 사람들이 가끔은 이 많은 책을 다 읽기는 하는거냐고 묻곤 한다. 그래서 본깨적 독서법이 조금은 어렵게 느껴지기도 했다. 책을 접고.. 빈공간에 메모를 하고.. 솔직히, 나에게는 있을수 없는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좋은 과학기술이 있지 않은가? 포스트잇과 플래그잇을 활용하면 충분히 그런 활동을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놀라웠던 것은 바로 책을 읽기전과 읽은 후의 활동도 중요하다는 것이였다. 사실 책을 읽고나서 리뷰를 쓰는 습관을 익힌수부터는 그 중요성을 충분히 느끼고 있었다. 하지만 책을 읽기 전에도 필요한 활동이 있었다. 바로 책에서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정리해보는 것인데.. 가끔 책을 읽다보면, 내가 왜 이 책을 읽고 있는가.. 고민할 때가 있다. 그런 시간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나만의 지식자서전을 만들수 있는 북바인더는 나에게 꼭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어디서 따로 속독을 배운적은 없는데.. 상당히 책을 빨리 읽는 편이다. 그래서 가끔 누군가 책을 빨리 읽은 법을 알려달라고 하면, 많이 읽으면 된다는 식으로 말하곤 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내 답이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는 생각이 들었다. 속독의 이유는 배경지식에 있다라는 언급에 공감했기 때문이다. 배경지식이 있기에 이해의 속도가 빨라지며 책 읽는 속도가 덩달아 올라가는 것인데.. 배경지식은 책을 통해서도 얻을 수 있지만 다른 매체를 통해서도 가능할 것이다. 가끔, 너무 안읽힌다 싶은 책들이 있으면.. 내가 이런 쪽으로 배경지식이 부족하구나 라고 역으로 생각해볼 수 도 있을 것 같다. 때론 책을 편식한다는 느낌을 받고는 하는데, 그런 부분에서도 활용해볼 수 있는 팁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