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웃사이드 인 전략 - 와튼 스쿨 최고의 마케팅 명강의
조지 데이 & 크리스틴 무어먼 지음, 김현정 옮김, 이명우 감수 / 와이즈베리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펜실베니아대학교 경영대학원인 와튼스쿨의 교수 조지데이, 듀크대학교 경영대학원인 푸쿠아의 교수인 크리스틴 무어먼. 이들이 제시한 마케팅 방법론 <아웃사이드 인 전략>은 기업의 경영방침이 '고객의 가치'에 있어야 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미국 마케팅 협회에서 주요한 자리를 역임했고 경영전략과 마케팅에 있어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이 책의 저자들은 자칫 어렵게 다가올 수 있는 이야기들을 실제 사례를 통해서 좀 더 쉽게 설명해준다. 예를 들면 아마존, 넷플릭스, 이케아, 자포스, P&G, 나이키, 네스프레소, 롤스로이스와 같은 다국적 기업이나 카셀라와인, 디아지오처럼 고객의 시점에서 시장에 접근한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을 제시해주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대부분의 기업들이 고객의 가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아웃사이드 인 전략이 아닌 인사이드 아웃 전략을 취하고 있는 것이 문제이다. 즉, '우리가 시장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이 우리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라는 관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아무래도 시장상황을 고려하기보다는, 자사의 내부상황을 고려할 수 밖에 없는 심리적인 장벽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따라서 이 책은 고객에 집중하는 전략의 중요성을 역설할 뿐 아니라,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매우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고객 가치 리더가 돼라, 고객을 위해 새로운 가치를 혁신하라, 고객을 자산으로 활용하라, 브랜드를 자산으로 활용하라 라는 4개 고객 가치 요건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서 리더의 역할이 중요해지는데, 단순히 비전을 제시하는 수준이 아닌, 폐쇄적인 조직 구조를 뛰어넘으려는 의지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마케팅 부서에서 일을 하고 있는 터라, 책을 읽으며 과연 내가 속해있는 기업의 경영방침은 어떤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가를 계속 점검하게 되었다. 그리고 내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되는데 아무래도 시장에 대한 심층적인 통찰력을 갖추는 게 우선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를 마켓센싱이라고 보통 이야기하는데, 이는 소비자의 니즈를 이해, 분석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반응하는 것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통찰력을 갖기 위해서는 우선 "고객의 입장에 서서 기업이 하는 모든 활동을 고객의 눈으로 바라보는 방식" 즉 아웃사이드 인 전략을 충분히 습득해야 할 것이 라고 생각하게 되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