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쾌한 크리에이티브
톰 켈리 외 지음, 박종성 옮김 / 청림출판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15명의 디자이너로 시작해 600여명의
인재를 거느린 세계적인 디자인 기업 IDEO를 창업한 켈리형제의 책<유쾌한
크리에이티브> 그들은 창조력이라는 것이 선택 받은 천재들에게 발현되고 누리게 되는 재능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누구나 창조적인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이야기 하는 그들은 마치 근육을 키우듯 '창조적 자신감(creative confidence)'을 키워나갈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 과정을 공중제비, 모험, 섬광, 도약, 탐색, 협력, 전진, 착지로
구성하여 우리 모두가 ‘창조적인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책을 다 읽고 나서 IDEO의 홈페이지를 방문해보았다.
IDEO (pronounced “eye-dee-oh”) is an
award-winning global design firm that takes a human-centered, design-based
approach to helping organization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novate
and grow.
(출처: http://www.ideo.com/about/)
책을 읽으면서 느꼈던 것들을 이렇게 잘 정리해놓은 것이 참 흥미로웠다. 언젠가
노무현 전 대통령이 남기신 글쓰기 지침을 읽은 적이 있는데, 그때 “단
한 줄로 표현할 수 있는 주제가 생각나지 않으면, 그 글은 써서는 안 되는 글이네.”라고 하는 말이 있었는데, 이 책도 거기에 잘 부합된다. 그리고 그들이 청조적인 사고를 어떻게 끌어냈는지를 따라가다 보면 창조성도 연습을 통해서 늘려나갈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특히 창조적 자신감을 회복해나가는 것과 인간 중심의 사고로 통해 혁신을 이루어 나가는
과정이 나에게는 많은 도움이 되었다.
나 혼자만의 이야기지만, ‘뾰로롱한 순간’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어느 순간 내가 정말 이런 생각을 해낸 것인가
할 때가 있는데 그때 머리에서 ‘뾰로롱’소리가 나는 듯 하기
때문이다. 사실 ‘뾰로롱’이라는
소리가 ‘뾰로롱 꼬마마녀’라는 TV만화에서 나오던 것인데, 나는 창조력이 샘솟는 순간을 마법처럼 늘
느껴왔던 거 같다. 그래서 언어습관에 대한 이야기를 읽을 때 일단 그런 말을 바꾸는 것이 우선이라는
생각을 했다. 창의적인 생각이 떠오르는 것은 절대 마법이 아니기 때문이다. 창조력이란 수많은 시도와 실험을 거듭하면서 더 많이 도전해내는 과정의 연장선상에 있기 때문에, 더 많은 결과물을 얻고자 한다면 더 많이 부딪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내가 가장 신경 써야 할 조언은 바로 ‘가장 먼저 떠오른 답은
일단 제쳐둬라’이다. 학창시절에 문제를 찍으면 처음 선택에서
바꾸지 말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서인가, 나 역시 처음 떠오른 답에 꽤 집착하는 편이다. 하지만 인생은 특히 창조력은 객관식 시험이 아니지 않은가. 가장
먼저 떠오른 것은 판에 박힌 대답이기 쉽다. 판에 박힌 대답 속에서 어떻게 창조력을 키워나갈 것인가? 나에게 필요한 다양한 조언들을 메모하다 보니 책을 읽는 시간이 길어졌지만, 그만큼
유익하고 도움이 되는 시간이었다. 그리고 그들의 조언처럼 나만의 방식으로 창조적일 수 있게 도와주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