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모의 자격 - 내가 제대로 키우고 있는 건가
최효찬.이미미 지음 / 와이즈베리 / 2014년 2월
평점 :
"자신에게 기대를 걸고 있는 부모님을 기쁘게 해드리고 싶어서
열심히 공부한다"
KBS에서 반영된 '공부하는
인간'에서 한국과 중국의 학생들은 공부를 하는 이유를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어쩌면 나의 학창시절과 그렇게 다르지 않는지, 항상 입시제도를 바꾸고
교육환경을 개선한다는 정책들이 이어져도 크게 변하는 것은 그렇게 많지 않은 것 같다. <부모의
자격>속에 소개되는 수많은 사례들을 보면 도리어 나빠지는 느낌마저 들었다.
어떻게 보면 나 역시 지금의 학생들이 걷고 있는 길을 먼저 걸어 성장했다. 공부를
꽤 잘하는 편이었고, 비록 자녀의 성적표에 울고 웃는 부모님께서는 아니었지만 매우 자랑스러워하셨다. 내가 다니던 고등학교는 ‘공부를 잘하면 로열석에 앉으세요’에 소개된 학교와 비슷했다. 매달 모의고사를 보면 성적표가 학교벽면에
붙었었고, 이를 토대로 좌석과 반이 정해졌고, 학칙을 지키는
것에 대한 유연성이 부여되었고, 에어컨이 나오는 독서실에서 공부를 할 수도 있었다. 사실 나는 그때 그것을 매우 자랑스러워했는데, 책을 읽다가 마음에
걸리는 것이 있었다. 이렇게 성적으로 줄을 세우고, 특권을
부여하는 환경에서 성장하면 특권을 당연시 하는 사람이 된다고 한다. 나 역시 그런 사람이 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들었고, 별로 좋지 않은 환경에서 성장했구나 하는 생각마저 들었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서열에 존재하고 그 서열에 따라 특권을 누린다는 생각이 내재화되는 것은 개인의 정서를 메마르게
하고 권위적으로 만든다. 나도 모르게 그런 사람으로 성장하고 있었다는 게 속상하기도 하다.
그런데 그러한 환경이 도리어 심화되고 있고, 심지어 요즘의 학부형과
학생들은 ‘만성 교육 피로증’에 시달리고 있다니 안타깝다. 심지어 서로 비교하고 비교당하면서 고비용 사교육 시장으로 내몰리고 그 속에서 ‘에듀 푸어’로 전락하는 사례도 있었다. 얼마 전 이모한테 지인이 한 달에 교육비만 200만원 이상을 쓰는
며느리와 고부갈등을 일으키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약간의 과장이 더해졌겠거니 했는데, 이 책을
읽다 보니 그렇지만도 않을 듯 하다.
"우리 엄마들은 헌신적인 사랑은 있는데, 지켜봐 주는 사랑과 냉정한 사랑이 없다. 이런 까닭에 자녀교육에
대부분 실패한다"
법륜스님의 <엄마수업>에서
인용된 이 문장이 어쩌면 지금의 학부형들이 마음에 담아야 할 이야기가 아닐까 한다. 이 뿐만 아니라, 자기계발을 포기하고 자녀교육에만 전념하고 있는 요즘의 어머니들에게 신사임당의 ‘자아완성형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가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한다. 전에 읽은 <유대인의 형제 교육법>에서도 그런 생각을 했다. 부모가 자식에게 헌신적인 것보다는
자식들이 자신을 보고 따라올 수 있는 역할모델이 되는 것이 더욱더 유용할 것이다. 이는 자녀뿐 아니라
부모이기 이전의 한 사람의 개인으로 태어난 당사자에게도 그러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