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0개의 키워드로 읽는 북유럽 이야기 - 바이킹에서 이케아까지 ㅣ 50개의 키워드로 읽는 시리즈
김민주 지음 / 미래의창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북유럽은 알면 알수록 신기하다. 내가 즐기던 여러 가지가 북유럽에서
온 것임을 알게 되는 것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작년인가, 영어의
역사를 공부할 때 북유럽 신에 대해서 배우게 되었다. 바이킹이 영국을 침입을 하면서 영국에서는 이들에
대한 유화책으로 ‘데인로’를 설치하여 그들의 자치권을 인정하였다. 그때 영어에 북유럽의 어휘가 많이 들어오게 된다. 이 책에서도 나왔다시피
북유럽 신화 속의 신들이 영어의 요일이름에 상당수를 차지한다. 요즘 영화로도 큰 인기를 끈 ‘토르 Thor’가’ 목요일
Thursday’의 어원인 것처럼 말이다.
어린 시절 즐겨 읽던 동화를 쓴 안데르센과 뮤지컬과 영화로 만들어진 <맘마미아>의 노래 ‘아바’, 일본에서
즐겨보던 둥글둥글한 캐릭터 ‘무민’까지 북유럽의 문화는 우리에게
가까이 다가와 있다. 거기다 요즘 우리나라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는 작가 ‘요 네스뵈’ 역시 ‘스칸디나비아
느와르’라고 불리는 북유럽 스릴러의 작가이다. 이들은 복지와
고소득에 가려져 있는 북유럽 사회의 실상을 제대로 부각시키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고 한다. 사실 조금
놀랐던 것은 바로 내가 즐겨 먹던 ‘앱솔루트 보드카’이다. 이 역시 북유럽 브랜드였는데, 특이한 디자인으로 한정판이 나올 때면
모아두고 컬렉션을 만들어 놓기도 했을 정도로 좋아했는데도 전혀 몰랐다. 이처럼 우리도 모르게 우리 주위에
자리잡기 시작한 것이 바로 북유럽의 문화이다.
북유럽 하면 대부분 복지국가를 떠올리기 마련이다. 핀란드는 오랜 시간
러시아의 지배를 받기도 했었는데, 이때 사회주의의 영향을 받기도 했고,
공산주의 혁명이 일어날까 우려하던 정부는 높은 세금으로 윤택한 사회복지를 제공하도록 노력하면서 지금의 체제를 유지하게 된 것이다. 양성평등도 잘 보장되어 있어서 여성 지도자가 다수 등장하기도 했던 북유럽 국가의 재미있는 면은 위법행위를 했을
때 부여되는 벌금이 당사자의 재산을 기준으로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노키아 부사장은 교통위반을 하고
우리나라 돈으로 1억 8천정도의 범칙금을 받기도 했다는 것은
북유럽의 힘이 어디서 오는지 추측해 볼 수 있는 사건이기도 했다.
이처럼 <50개의 키워드로 읽는 북유럽 이야기>는 다르지만 같은 면도 많이 갖고 있는 5개의 국가는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아이슬란드인데 공통점과 차이점을 역사, 경제, 사회, 문화, 지역으로
나누어 설명해준다. 심지어 이들 국가는 국기마저 같은 모양 ‘단네브로
십자가’를 사용하고 있는데, 덴마크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던
파키스탄 회교도들이 노르웨이 국기를 대신 태운 에피소드가 있을 정도로 정말 구별하기 쉽지 않기는 하다. 때로는
북유럽과 스칸니다비아가 혼용되서 사용되기는 하지만,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걸쳐있는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를 지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