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개의 철학 지도 - 나와 세상을 이해하기 위한 인문학적 밑그림
김선희 지음 / 지식너머 / 2014년 7월
평점 :
품절
아트앤스터디에서 ‘각도와 층차 : 여덟 가지 개념으로 만드는 작지만 단단한 철학지도’라는 주제로 진행된 철학강좌를 바탕으로 집필된 <8개의 철학지도> 인간다움을 가능하게 해주는 학문이라는 인문학 중에서도 철학을 백미로 꼽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철학은 접근하기 조금 까다로운 느낌이 들곤 하는데, 요즘은 철학을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책들이 나오고 있는 거 같다.
그래 얼마든지 마음껏 나를 비웃어도 좋아
나에겐 철학이 있으니까
그리고 난 이걸 단단하게 믿고 있지
그게 바로 나의 철학이 내가 쓰러질 때도
나를 계속 걷게 만드는 이유인거야
여는 글에서 인용된 미국 밴드 ‘벤 폴즈 파이브’의 노래가사인데, 철학을
어려운 학문으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의 힘으로 이야기하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이 책은 이처럼 철학을 삶의 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 만약
재물이나 인맥 타고난 재능이 풍부한 사람들이라면, 그것을 활용하여 충분히 자신의 삶을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끌고 나갈 수 있겠지만, 솔직히 그런 사람은 많지 않다. 그래서
나 역시 삶의 문제에 부딪쳐 넘어지고 좌절할 때가 많아서 철학에서 힘을 얻고 싶어진다. 철학이라는 것은
어떻게 보면 나보다 먼저 세상을 살아간 현명한 이들의 가르침을 모아놓은 삶의 지도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유토피아, 청춘, 비극, 웃음, 귀환, 우정, 자기고백, 공부라는 여덟 개의 생각지도로 우리의 삶에 이정표를 세워준다.
나는 마지막 공부에 대한 이야기를 읽으며 나 자신을
많이 돌아보았다. 나에게도 그렇듯이 공부라는 것은 성적과 동일시 되어버렸다. 그런 면에서 나는 공부를 꽤 잘했다. 그런 공부는 삶을 좀 더 풍요롭게
하는 조건이 되어줄 뿐, 나 자신을 성장시키는 데는 적절하지 않았다.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나 공자가 이야기하는 자신을 성장시키는 공부가 나에게 필요하다는 생각을 한다. 관조와
실천의 조화를 모색한 아리스토텔레스는 실천적 지혜를 보여준 인물로 그리스의 정치가 페리클레스를 꼽았다고 한다. 페리클레스는
자신의 능력을 자신과 주변을 좋은 방향으로 이끈 인물로서 민주적 지도자의 전형이라는 평을 받곤 한다. 가끔
책을 그렇게 많이 읽으면서 왜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느냐는 말을 들을 때가 있어서 ‘실천적 지혜’라는 말이 참 아프게 다가왔다.
또한, 공자가
이야기하는 배움의 효과도 기억에 남는다. 우리는 청출어람이라는 말을 제자가 스승보다 발전된 모습을 보일
때 사용하곤 하는데, 원래의 뜻은 조금 다르다고 한다. 청출어람은
학문의 효과를 보여주는 말인데, 배움을 통해서 자기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가끔은 나 자신이 정체되어 있다는 생각을 하곤 한다. 책을 읽을
때는 나의 부족한 면을 직시하고 또 고쳐나가야겠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현실에서는 그대로 멈춰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제는 ‘청출어람’을 내 삶에 끌어들이기 위해 나 자신을 이끌 수 있는 공부에 좀 더 마음을 써야겠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