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통령을 위한 에너지 강의 - 경제성장을 발목잡는 에너지 딜레마
리처드 뮬러 지음, 장종훈 옮김, 허은녕 감수 / 살림 / 2014년 8월
평점 :
리처드 뮬러의 [대통령을 위한 에너지 강의]는 자연과학적 사실과 연구를 바탕으로 화석연료, 대안에너지, 원자력, 에너지 절약의 비용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다. 미래의 대통령이 합리적인 에너지 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또 한편으로는 국제 정세나 정치 그리고 이익집단에 휘둘리지 않은 에너지의 본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평소에
에너지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잘못된 보도나 과잉반응
혹은 과장된 시각 때문에 에너지에 대해서 갖고 있는 잘못된 상식들을 수정할 수 있게 해주고자 해서 심지어 원서의 부제는 ‘신문기사 제목 뒤에 숨겨진 과학적 사실’이라고 한다.
인류가 막대한 에너지를 갈망한 결과 벌어진 대형 사고 중에 후쿠시마 원자로 멜트다운, 멕시코만 석유유출, 그리고 지구 온난화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면서
책이 시작된다. 아무래도 현대인에게 에너지는 기본적으로 사용가능 한 것처럼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이런 사고가 일어났을 때야 비로서 에너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후쿠시마에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생기면서 나 역시 방사선에 대한 두려움을 갖게 되어서, 책을 읽으면서도 ‘정말일까?’ 라는 생각을 수없이 했다. 심지어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는 방사선량이 연간 0.1램을 초과하면
피난을 권장하는데, 이는 덴버의 자연 방사선의 삼분의 일 수준이라는 이야기에 당황스럽기도 했다. 물론 우리가 자연방사능 세계에 살고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고, 이
책을 읽으면서 방사능에 대한 시각을 조금은 바꿀 수 있었지만 그래도 마음에 걸리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거 같다.
뭐랄까? 머리로 아는 것과 실제로 행동하는 것에는 괴리감이 있을 때가 많은데 방사능 역시
그런 것이 될 것 같다.
사실 에너지는 현대 문명이 발전하는데 필요조건이자 충분조건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하지만 에너지라는 자원은 한정적이라는 것이 문제이고 솔직히 거기에 대한 위기의식이 상당히 팽배해 있고 대체에너지의
필요성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들려오는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생각보다
우리에게는 더 많은 에너지 자원이 남아있다는 생각도 들었다. 심지어 에너지 위기는 화석원료가 아닌 석유부족을
즉 액체연료의 고갈을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한다. 퇴적암의 일종인 셰일에서 채굴 가능한 천연가스의 존재를
‘횡재’라고 까지 표현할 정도로 그 양이 충분하고, 또한 분포 량이나 지역을 보면 이를 필요로 하는 나라에 많이 매장되어 있어서 도리어 자원으로 인한 갈등을 줄일
수 있는 여지가 있어 보이기까지 했다. 사실 책을 읽으면서 어렵다는 생각보다 기존에 알고 있던 상식에
반하는 새로운 정보와 관점 때문에 혼란스럽다는 생각을 더 많이 했던 거 같다. 하지만 이를 통해서 생각의
폭을 넓히고 균형을 잡을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