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 바이블 - 신과 우리 모두의 이야기
마크 버넷, 로마 다우니 지음, 전의우 옮김 / 아드폰테스 / 2014년 12월
평점 :
절판
미국 케이블 TV사상 최고 시청률을 기록한 드라마 ‘더 바이블’. 후속작은 공중파에서 제작하기로 결정이 되었을 정도라니
그 인기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성서에 담겨 있는 이야기는 약
1600년의 역사인데, 그를 10시간의 드라마로
구성해내었다는 것이 참 놀라운 일이다. 그리고 그 드라마 대본을 소설로 각색하여 나온 것이 바로 ‘신과 우리 모두의 이야기’, <더 바이블>이다. 책을 다 읽고 나니, 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을 드라마가 너무 보고 싶어졌고, 그 다음에는 ‘작가의
말’에 나왔던 “더 많은 사람이 성경을 집어 들도록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말이 너무나 당연하게 다가왔다.
어린 시절에는 여름성경학교에 갔던 추억이 있을 만큼, 기독교에 꽤나
가까웠던 적도 있었다. 하지만 성경은 절대 쉬운 컨텐츠가 아니었다. 어린
나이에 감당하기에 참 어려운 말이 많고, 수많은 인물과 복잡한 이야기가 버거웠다. 심지어 교회에서 많이 부르는 “대개 주의 사랑 주의 권세 주의 영광”이라던 노래 역시, ‘대개’가
무슨 뜻인지 바로 생각해내는 것은 쉽지 않았다. 그 후에도 성경이나 이야기 형식으로 풀어낸 성경을 몇
권 읽어보았다. 확실히 기독교라는 종교에 익숙지 않다면, 소설의
형식을 빌린 책들이 훨씬 접근하기 좋다.
재미있었던 것은 하나님의 천지창조 후, 그 다음 이야기가 상당히 생략된다는
것이다. 이 부분을 보며 웃을 수 밖에 없었던 것은, 나만
그랬는지 몰라도 성경책을 읽어야지 하면, 보통 창세기에서 책장을 닫곤 했기 때문이다. 아마 성경을 읽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아담과 이브 그리고 선악과’는 가장 익숙한 이야기가 아닐까 싶다. 삼손과 드릴라의 이야기도 그러했지만, 가장 인상적으로 남았던 예수의 고난 부분은 소설의 형식을 빌려서 그런지, 더욱
생생하게 다가왔다. 그래서 더욱 감동적으로 기억되기도 했다. 사실
성경을 읽을 때 너무 많은 인물이 등장하는 것도 문제였는데, 이렇게 읽어보니, 도리어 집중하기 좋았던 면도 있었다.
내가 읽어본 책 중에 추천하고 싶은 것을 고르자면, 바로 이 책 ‘더 바이블’을 선택하고 싶다. 이
책의 저자들은 스스로를 텔레비전 이야기꾼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 말은 정말 이 책 내내 빛나고 있었다. 마치 영상을 보는 듯 생생한 묘사와 인물들의 감정선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한 권의 책을 다 읽어버리게 된다. 그러면서 창세기부터 요한계시록까지 만나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그 방대한 성경을 다 다른 것이 아니라, 아름다운 이야기 그리고 중요한 이야기를 골라서 담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긴 하다. 그래서 마치 한 편의 대하드라마를 보는 거 같기도 하고, 대서사시를 읽는 거 같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