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는 어디에서 오는가 - 진화하는 경제생태계에서 찾은 진짜 부의 기원
에릭 바인하커 지음, 안현실.정성철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경제학의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 전통 경제학의 학자들은 기상통보관보다 못하다는 혹평을 들을 때가 많다. 특히 경제가 글로벌화되가면서 그런 평가가 주를 이루게 되었는데, 전통
경제학의 가장 큰 문제는 인간을 완전히 합리적인 존재로 파악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그들 역시 전통
경제학의 가정이 지극히 비현실적이라는 비판을 인정하지만, 대안이 없다는 이유로 자신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었다. 하지만 ‘호모 에코노미쿠스’같은 대안적인 모델이 출현하고, 컴퓨터의 도움으로 다양한 모델들을
실험할 수 있게 되면서, 드디어 경제학에도 진화의 바람이 불어오는 것 같다. 그리고 그 흐름을 적절하게 포착해낸 책이 바로 <부는 어디에서
오는가>이다.
‘부는
무엇인가?, 부는 어떻게 창출되는가?. 부는 어떻게 증대시킬
수 있는가?’ 이러한 질문은 경제학 분야에서 가장 오래되고 또 영원히 지속될지도 모르는 질문들이다. 그래서 이 책은 전통적 경제이론의 문제점, 복잡 적응 시스템으로
경제를 이해하는 접근법, 그리고 부의 창출과 그에 대한 진화론적 설명,
복잡계 경제학의 갖고 있는 의미를 큰 줄기로 삼고 전개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절대 합리적일
수만은 없는 인간 의식의 약점과 결점 그리고 그로 인한 인간의 행동과 경제 활동의 결합으로 만들어지는 복잡한 경제 현상에 대한 이야기들이 상당히
흥미로웠다. 경제적 선호도까지도 심리학적으로 과학적으로 접근해서 분석한다던지, 국가의 역할과 기술 혁신에 접근도 합리성을 강조하는 전통경제학보다 복잡계 경제학이 합리적으로 느껴지기도 했다.
물론 어디에서 생활을 하느냐에 따라 주어지는 경제적 기회나 선택 가능한 상품의 종류는 천차만별로 차이가 나고
있기는 하지만, 전세계 64억의 인구 대부분은 글로벌 경제
시스템이 제공하는 일자리, 의식주, 사치품 그리고 정밀기기를
거래하고 소비하며 살아가고 있다. 점점 커지는 규모와 복잡성 때문에 경제현상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여기에 대해서 보다 과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면, 우리의 삶은 좀 더 나아질 것이 분명하다. 그래서 이 책은 다양한
독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기도 하고, 상당히 쉽게 그리고 재미있게 읽히는 것도 사실이다. 물론 700페이지 정도의 분량의 압박만 이겨낼 수 있다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