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양이의 서재 - 어느 중국 책벌레의 읽는 삶, 쓰는 삶, 만드는 삶
장샤오위안 지음, 이경민 옮김 / 유유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어느 중국 책벌레의 읽는 삶 쓰는 삶
만드는 삶’이라는 부제를 갖고 있는 <고양이
서재> 하루종일 서재에 책 사이를 지나다니는 고양이고 싶었다는 장샤오위안의 책이다. 그의 말을 들어보면 나의 또다른 취미생활중 하나인 십자수로 그려낼 수 있는 그림인 책장에서 잠든 고양이가
자꾸만 떠올라서 책을 읽는 내내 여유롭고 편안한 느낌이었다. 거기다 새로 편찬해서 내놓은 책을 딸에게
선물해주어도 예전 책을 추억이라며 아끼는 이야기는 너무나 나랑 닮아 있어서 괜히 친구처럼 느껴지는 책이기도 했다.
그는 문화대혁명이 일어난 시기에 학창시절을 보냈다. 봉자수라고 하여
봉건주의, 자본주의, 수정주의에 해당하는 그리고 중국의
전통문화, 서구문화까지 거의 모든 책이 ‘독초’로 분류되던 시절이었다. 하지만 책을 사랑하게 된 그는 친구들
사이에서 책을 유포시키는 허브 역할을 했고, 부모님 덕에 조금 길게 빌려볼 수 있는 책들은 직접
필사를 했을 정도로 책에 대한 열정의 뛰어났던 인물이다. 특히 그때는 중국 고전 문학을 정말
좋아했는데, 시를 짓는 율격을 공부하고 싶었지만,
선생님에게 혼이 난 후, 스스로 수많은 율시를 골라 정리하고 규칙을 찾아낼 정도였다고
한다.
그렇게 문학에 빠져 있던 그이지만, 대학은 또 이과쪽으로 갔다가 대학원은 또
문과와 이과를 연결시키는 과학사를 공부했다. 그의 대학 입학 성적표를 보면 이과랑은 전혀 적성에 맞지
않았던 나의 성적 분포를 보는 느낌이랄까? 지금은 과학사학자이자 천문학자 거기다 저자, 번역가, 편집자,
서평가로 활동하고 있는 다재다능한 인물이기도 하다. 상하이 천문대에서 유유자적한 삶을
살다, 아직 그렇게 노인처럼 보낼 나이는 아니라는 친구의 조언에 상하이 교통대학교에 중국 최초로
과학사학과를 만들기도 했다. 또한 그의 서재는 이동책장을 통해 이만 권이 책을 수납하여, 많은 매체에서 취재를 오기도 했다니 여러모로 참 흥미로운 인물이기도 하다.
나에게는 딸과의 일화가 가장 인상적이었다. 책에 대한 탐욕을 그대로 닮은 딸과
딸의 취향이 다시 아빠에게 영향을 주는 그런 이야기었다. 나 역시 아빠의 독서습관을 그대로
물려받았고, 책을 읽다가 너무 좋은 책은 새로 구입해서 아빠에게 선물하기도 한다. 또 아빠가 책을 읽고 남겨놓은 메모를 보고 내가 읽을 책을 고르기도 하기 때문이다. 책을 너무나 사랑하는, 활자중독인 사람들에게는 너무나 공감할
거리가 많은 책이기도 하고, 서평을 쓰는 사람에게도 도움이 되는 팁이 많고 또 우리에게는 조금은 낯선
중극 현대사회의 흐름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