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형사의 아이
미야베 미유키 지음, 권영주 옮김 / 박하 / 2015년 2월
평점 :
절판
미야베 미유키의 초기 걸작 <형사의 아이> 책 띠에 있는 “웰컴 투 미야베 월드!”라는 문구가 딱 이라는 느낌이랄까? 정말 뭐처럼 푹 빠져서 읽은
소설이다. 부모님의 이혼으로 형사인 아빠 야기사와 미치오를 따라 시타마치로 이사를 온 준. 어느 날 시타마치를 따라 흐르는 강에서 토막시체의 일부가 발견되면서 사건은 시작된다. 아빠가 수사를 나간 사이, 준은 “시노다
도고는 살인자”라는 편지를 발견하고, 평소 형사라는 직업을
동경하던 친구와 함께 사건 속으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시타마치에서 조용히 살아가는 유명한 화가 시노다
도고를 둘러싼 소문이 점점 번지는 상황에서 준은 시노다 도고의 집으로 들어가게 되고, 그의 대표작 ‘화염’을 구경하게 되면서 점점 어린 소년은 사건의 중심에 서게 된다.
아빠에게 온 편지를 비닐장갑을 끼고 열어본다던지, 잠복중인 아빠의
동료형사를 모른 채 하고 지나간다던지, 토막시체의 일부를 버린 곳이 다 지붕이 있는 장소인 것을 지적한다던지, 상당히 영민한 준의 활약을 중심으로 이야기는 흘러간다. 그리고 미치오와
마치 ‘미스 마플’을 떠올리게 하는 가정부 할머니 하나가
나에게는 인상적이었다. 부모님의 이혼을 안타까워하던 준에게 하나는 사람은 누구나 무장을 하고 살아갈
수 밖에 없다는 이야기를 해준다. 서로가 갖추고 있는 무장의 질이 너무나 달라서 두 분의 인연이 더
이상 이어질 수 없었다는 이야기, 왠지 나에게도 의미심장하게 다가오기도 했다. 어찌되었든, 미치오가 그간의 수사경험으로 무장을 했다면 하나는 자신이
지나온 세월과 경험으로 무장을 한 느낌이랄까?
소년법을 개정하여, 흉악범죄의 경우에는 15세 이상도 성년과 같은 형사죄를 적용하자는 시위가 사건의 실마리가 되지만 범인이 누구인지에 대한 것보다 청소년들의
범죄에 대한 이야기가 더 기억에 남는다. 앙갚음을 하기 위한 무차별 살인이라는 내부의 의견에 그다지
공감하지 못한 미치오는 소년범들에게는 상상력이 없다는 이야기를 한다. 그들은 자신의 행위가 상대에게
어떻게 다가갈지, 상대가 어떻게 느낄지에 대한 상상력이 지극히 부족하다는 것이다. 미치오의 말을 듣는 순간 마음 한 켠이 답답해져 왔다. 갈수록 흉악한
범죄가 늘어나는 세상이다. 그 원인에 대해 분석한 수없이 많은 기사를 보았지만 이 말만큼 마음에 와닿는
이야기는 없었다. 얼마전에 책을 소개해주는 ‘빨간책방’이라는 팟캐스트에서 고통을 추상적으로 환원하고 있는 현대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내용을 들은 적이 있다. 그런 과정을 통해 그 사람들에게 수많은 사연이 있고 각각의 고통이 있음을 망각하게 된다는 것이다. 어쩌면 상상력의 부재라는 문제도 그런 것들에서 오는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