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귀로 보고 눈으로 듣는 영화 이야기 딴지영진공 - 촌철살인한 영화.시사 코드와 전문 OST 분석
차양현 외 지음, 서용남 그림 / 성안북스 / 2015년 3월
평점 :
영화 부문 국내 최고 인기 팟캐스트라는 ‘딴지영진공’, 풀어서 말하자면 ‘딴지일보 영화진흥공화국’을 책으로 옮겨낸 < 귀로 보고 눈으로 듣는 영화이야기 딴지영진공
>. 이 책은 슈퍼히어로, 거장, SF, 애니메이션, 방화, 로코, 호로, 번외편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딴지영진공을 이끄는 진행자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자신의 시선을 거침없이 드러내며 더욱더 다채로운 시선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나 거의 매 칼럼 말미마다 등장했던 영화 음악에 대한 이야기가 기억에 남는다. 물론 영화음악으로 빛났던 ‘겨울왕국’에서는 나오지 않아서, 나도 모르게 책장을 다시 넘겨봤던 기억까지
있을 정도였다.
그저 웃고 즐기는 킬링타임 영화라고 생각한 ‘트랜스포머’를 보며 로봇과 남성에 대한 이야기를 읽어내는 것도 흥미로웠다. 나
역시 인간의 비중이 많을수록 지루하다고 여겼고, 엄청 열광하며 봤던 영화라 나 역시 0과 1로 명확히 구분하는 로봇적인 세상에 익숙한가 그런 생각을 했다. 그런데 몇편인지 기억이 정확하지는 않지만, 그 말미에 지나치게 정의로운
척 하며 대사를 친다고 느꼈던 옵티머스 프라임을 보며 살짝 오그라들던 기억이 있다. 그 단순하고 유치한
대사를 심각하게 내뱉을 수 있는 것이 남자 그 자체라니, 아직까지 나는 금성에서 온 여자이기는 한가보다. 물론 ‘겨울왕국’의 아름다운
엘사를 보며 히키코모리를 떠올려야 한다는 것이 가슴아프기도 했지만, 영화를 바라보는 정말 다양한 시선을
만날 수 있는 책이기도 했다.
영화 ‘관상’을 이야기하며
한명회에 주목한 것도 인상적이었다. 물론 관상을 보고 나면 세조를 연기한 이정재의 등장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를 하곤 한다. 나 역시 그 장면이 가장 인상적이었지만,
또 한편으로는 왜인지 몰라도 영화 ‘브이 포 벤데타’의
가면을 떠올리게 하는 한명회가 기억에 오래 남아 배우 이름을 찾아보기도 했다. 그래서 한명회의 정치, 그리고 그가 정적을 제거하는 방법, 그리고 끝내 세조의 사당에 배향된
그의 이야기가 흥미롭게 다가왔다. 그리고 번외편 ‘무비 찌라시’에서는 ‘귀로 보는 영화, 눈감고
봐도 좋은 영화’라는 칼럼을 만날 수 있어서 정말이지 행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