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필요한 사람인가
발타자르 그라시안 & 프랑수아 드 라 로슈푸코 & 장 드 라 브뤼예르 지음, 한상복 엮음 / 위즈덤하우스 / 2015년 4월
평점 :
17세기 유럽의 사상가 ‘발타자르
그라시안’, ‘프랑수아 드 라 로슈푸코’, ‘장 드 라 브뤼예르’를 통해 좋은 사람보다는 필요한 사람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법을 알려주는
<필요한 사람인가> 사실 이 세 명의 사상가의 이름은 낯설기만 했지만, 이들은 17세기 유럽의 격변기에서 생존하면서 얻게 된 통찰력을 통해
자기계발의 시초가 될 수 있는 작품들을 남겼다. 그리고 이 책을 읽고 나서 알게 된 것은, 내가 꼭 만나야 할 사람이 바로 ‘라 로슈푸코’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의 잠언집은 염세주의자 세계관이 짙다고
하던데, 일부지만 이 책을 통해 만나본 그의 잠언집은 적어도 나에게는 합리적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
이해타산은 모든 죄악의 근원으로 비난 받고 있으나, 동시에
모든 선행의 근원으로 찬양 받을 자격도 가지고 있다.
-
허영이라는 길벗이 없다면 미덕은 그렇게 멀리까지는 가지 못할 것이다.
-
후회한다는 것은 자신이 저지른 잘못을 뉘우쳐서 그런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그것이 내게 돌려줄 화가 두렵기 때문이다.
-
감정에는 옳지 못한 면도 있으며, 그 깊은 곳에서는
이해관계가 작용할 때도 있다. 그러니까 감정이 아무리 온당하게 보이더라도 그것만으로 판단하는 것은 위험한
일일 수도 있다.
-
누구나 자기 자신을 타이를 수 있는 결점을 타인에게서 발견하는 법이다.

어쩌면 이렇게 다 마음에 와 닿는 이야기들인지 말이다. 그의 관점을
빌려 세상을 바라보면, 사람들이 갖고 있는 다면성을 이해하는 데 참 좋다. 한결 같은 사람이고 싶지만, 그렇게 살아갈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나부터가 수많은 얼굴을 갖고 있고, 필요에 따라 이런저런
얼굴을 꺼내 쓰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누군가 보는 나는 착한 사람일수도 있지만, 누군가 보는 나는 나쁜 사람일 수도 있다. 그리고 내가 바라보는
타인의 모습도 그럴 때가 많다. 그리고 그것을 이해하는데 ‘이해타산’만큼 적절한 툴이 있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사람들은 누구나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가고 싶어하는 한편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좋게 만들어나가려고도 한다. 그 상반된 욕망 사이에서 균형을 잡기에는 ‘라 로슈푸코’의 조언만한 것이 없다는 생각이 든다. 사람들과의 관계 특히 직장에서의
문제를 예시로 많이 들고 있어서, 직장인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세 명의 사상가의 말을 빌어 세상을 읽어준 저자 한상복의 글과 다른 두 명의 사상가의 말이 더해져 ‘라
로슈푸코’의 말을 더욱 빛나게 해주었을 것이지만 말이다. 그를
알게 되어서 정말 기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