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대한 치유력 셰익스피어 인문학 - 셰익스피어, 삶의 무대에서 치유의 깃발을 올리다
최용훈 지음 / 페르소나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셰익스피어가 가상의 인물이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 중에서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수많은 인간군상이 갖고 있는
직업, 계층, 그리고 시대적 공간적 배경의 다양성을 이야기
하는 사람들이 있다. 요즘처럼 인터넷이나 출판문화 영상물이 발달한 시대도 아니고, 한 사람이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경험하여 이야기로 풀어낼 수 있는 수준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번에 읽은 <셰익스피어 인문학>에서도 그의 작품을 ‘인간들 세상에 대한 만화경’이라는 표현이 등장할 할 정도이니, 그의 작품을 통해 사람과 인생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도 매우 흥미로운 일일 것이다. 이 책은 셰익스피어의 비극 6편, 희극 14편을 다루고
있는데, 시놉시스, 리뷰,
퀘테이션으로 구성하여 작품을 읽어보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도움을 준다. 특히
작품의 대사를 그대로 인용한 ‘쿼테이션’은 인물들의 성격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을 적절하게 담고 있어서 미처 읽어보지 못한 작품의 매력을 느낄 수 있기도 하고, 예전에
읽어본 기억들을 떠올리는데 매우 적절하다.
변함없는 사랑을 꿈꾸는 셰익스피어의 동화 같은 이야기 ‘한 여름 밤의
꿈’, 보통 셰익스피어의 사랑 이야기하면 나부터도 ‘로미오와
줄리엣’을 떠올리기 마련이다. 물론 ‘한 여름 밤의 꿈’은 내가 정말 좋아하는 희곡이다. 하지만 사랑보다는 오베론의 광대인 요정 퍽을 기억하는 나에게, ‘한
여름 밤의 꿈’을 통해 셰익스피어가 보여주려고 했던 사랑의 의미를 이 책을 통해 되새겨 볼 수 있었다. 드미트리우스를 짝사랑하는 헬레나의 ‘아무런 가치도 없고 미천한 것도
사랑하는 사람이 보면 훌륭한 형태를 갖추게 되거든’라는 대사는, 오베론이
만든 마법의 묘약보다도 더 큰 힘을 발휘하는 진실된 사랑의 힘을 느낄 수 있게 해주기도 한다.
또한 ‘끝이 좋으면 다 좋아’라는
작품 속에 등장한 헬레나, 사실 나는 그녀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특히나
헬레나의 '끝이 좋으면 다 좋은 거죠. 끝은 언제나 왕관과
같아요. 과정이 어떻든 끝은 명예인 거죠.'라는 대사는 그녀를
좋아하지 않는 이유를 축약적으로 잘 보여주기도 한다. 하지만 그녀가 셰익스피어가 그려낸 현대적인 여성상이라는
분석에는 공감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어쩌면 내가 그녀를 싫어한 이유도 옳다고 교육받은 것과 괴리감이
있는 나의 사고방식과 닮아서가 아닐까 하는 생각까지 들었다.
그리고 내가 좋아하는 맥베스, 맥베스에 대한 이야기를 읽고 어젯밤에
다시 맥베스를 읽어보았다. 마녀의 예언에 현혹되어 도덕적인 명예를 버리고 지위의 명예를 선택한 맥베스와
그를 부추기는 맥베스 부인의 모습은 너무나 닮아 보이는 야망과 욕망이 어떻게 다른지를 잘 보여주고 있는 그런 작품이 아닐까 한다. 어린 시절 동화처럼 읽었던 ‘베니스의 상인’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시선도 좋았고, 전체적으로 이 책을 읽으며
읽고 싶어지는 작품도 많아지고, 다시 읽어보고 싶은 작품도 많아져서 행복한 고민에 빠지게 된 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