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리하는 뇌 - 디지털 시대, 정보와 선택 과부하로 뒤엉킨 머릿속과 일상을 정리하는 기술
대니얼 J. 레비틴 지음, 김성훈 옮김 / 와이즈베리 / 2015년 6월
평점 :
가끔 무엇인가를 기억해내려고 하는데, 어렴풋하게 잡히지 않아 답답할
때가 있다. 그럴 때면 내 머릿속도 컴퓨터처럼 검색이 가능하고 태그를 붙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라는
생각을 하곤 한다. 사실 실제로 그렇게 해보겠다며 나름의 정리법을 고안한 적도 있어서 <정리하는 뇌>라는 제목을 봤을 때, 얼마나 반가웠는지 모른다. 이 책의 저자는 신경과학자이자 인지심리학자인
대니얼 J. 레비틴이다. 그는 ‘1만 시간의 법칙’을 과학적으로 규명한 학자로 유명하다. 전에 1만 시간의 법칙에 키포인트는 집중력이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이 책 역시 비슷한 맥락에 있다. ‘주의력은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정신적 자원’이라는 것이 나에게는 이 책의 주제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뇌는 자신에게 필요한 것에 집중할 수 있는 무의식적인 필터와 만족하기 생활 전략처럼 비용과 혜택을 분석하여 적당한
선에서 멈추는 것처럼 다양한 방식으로 주의력을 가치 있는 일에 사용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정보화시대에서
새로운 것에 쉽게 반응을 보이는 성향을 갖고 있는 인간의 뇌에는 이미 과부화가 걸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뇌는 정보를 입력하고 검색하는 나름의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당장 밖으로 나가
일정거리를 걷기만 해도, 스쳐 지나가는 사람의 수가 과거와 다른 것을 시작으로 뇌가 처리해야 하는 정보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이 책의 저자는 다양한 분야의 연구결과를 통합하여 인지 과부하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하는 건 이러한 부담을 나의 내부가 아닌 외부의 물리적인 세계로 옮겨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정작 필요한 일에는 집중하지 못하게 되고, 쉽게
오류를 범하게 된다. 그래서 다른 누군가가 해결할 수 있는 일은 자신에게까지 올라오지 않는다는 버락
오바마의 말을 빌려, 뇌 역시 그런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그래서 뇌에게 과하게 부담 지워진 다양한 일들을 쉽게 정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시간이나 정보라던지 디지털공간과 사회관계 그리고 집안이나 비즈니스 조직까지 제시되어 있는데 정말 유용한 정보가
많아서 도움이 된다.
사실 나는 나의 기억력이 예전 같지 못한 것만 문제로 삼고, 그것을
어떻게 하면 좋게 만들 수 있을지 고민했었다. 심지어 예전에는 전화번호도 잘 암기했었는데, 이제는 암기하는 번호가 하나 없다며 한탄하곤 했는데, 어쩌면 그것이
너무나 바쁜 뇌를 위한 하나의 배려가 될 수 있음을 이제서야 알게 되었다. 희소성이 강한 자원인 시간과
주의력을 꼭 필요한 곳에 사용하기 위해서 나에게 정말 필요한 것은 필요 없는 것들을 제외시킬 수 있는 ‘주의
필터 기능’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