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트] 우리가 볼 수 없는 모든 빛 - 전2권
앤서니 도어 지음, 최세희 옮김 / 민음사 / 2015년 7월
평점 :
<우리가 볼 수 없는 모든 빛,
All the Light We Cannot See>을 다 읽고 나서, 처음에는 그
빛이 무엇일지 곰곰히 생각해보았다. 하지만 자꾸만 ‘모든’이라는 수식어가 마음에 걸린다. 이미 우리를 둘러싸고 있지만, 우리가 보지 못하는 그런 것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닐까? 그리고 소설의
내용과 겹쳐져서, 그 빛은 ‘희망’이 아닐까 한다. 살다보면 마치 영겁의 밤에 갇힌 것처럼, 바늘구멍만한 길조차 보이지 않는 것 같을 때가 있다. 하지만 그
시간조차 뒤돌아보면, 왜 그렇게 아무런 꿈도 희망도 없다고 생각했었을까 하며 스스로에게 아쉬워할 때가
있다. 문득 드디어 만나게 된 마리로르와 베르너의 대화가 떠오른다.
“하지만 그건 용감해서가 아니에요.
내겐 달리 방법이 없었는걸요. 난 자고 일어나면 그저 내 인생을 사는 거예요. 당신도 그렇지 않아요?”
“몇 년 동안은 그러지 못했어요. 하지만
오늘, 오늘은 그랬던 것 같아요”
이렇게 말하면 어떨지 몰라도, 사실 이 둘은 적어도 이렇게 만나지는
말아야 했다. 어린 나이에 시력을 잃은 마리로르지만, 아버지의
따듯한 사랑 속에서 성장해 행복하게 살아야 했다. 고아로 성장해야 했던 베르너지만, 사랑하는 동생과 함께 자신의 재능을 맘껏 키워 과학자가 되어야 했다. 하지만
전쟁은 두사람의 평화로운 일상을 완전히 뒤바꾸어 놓았다. 그래도 말이다. 그렇게 애틋하게 사랑해주시던 아버지까지 사라지고 홀로 남아 폭격을 견뎌서는 안되었다. 편지로 미처 다 전해지지 않는 동생에 대한 지극한 사랑을 간직한 채 호텔 지하에서 폭격에 대피해서는 안되었다. 하지만 두 사람의 말처럼 우리는 그저 나에게 주어진 인생을 살아가야 한다. 그리고
그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오늘에서는 미처 보지 못하는 모든 희망을 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아니겠는가?
앤서니 도어의 <우리가 볼 수 없는 모든 빛>은 앤드루 카네기 메달 상과 2015년 퓰리처상을 거머쥔 작품이다. 2014년 아마존 올해의 책에도 뽑혔고, 이미 영화 판권이 팔린
작품이기도 한데, 사실 그런 화려한 수상에 대한 기록을 굳이 언급하지 않아도 될 만큼 충분히 아름다운
소설이고, 마치 퍼즐을 맞춰 나가는 듯한 즐거움을 주는 작품이다. 작년
퓰리처상 수상작인 <황금 방울새>를 읽으면서도
비슷한 인상을 받아서 더욱 흥미롭기도 했다. 덕분에 그 동안의 수상작들을 찾아보았다. 내가 읽은 작품도 꽤 되고, 지금까지 정말 좋아하는 작품도 포함되어
있고, 읽고 싶은 작품들도 정말 많아졌다. 아무래도, 앞으로의 퓰리처상 수상작을 기다리게 될 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