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술마을 인문여행 - 미술, 마을을 꽃피우다 ㅣ 공공미술 산책 2
임종업 지음, 박홍순 사진 / 소동 / 2015년 9월
평점 :
품절
예전에 헝가리의 빈민촌이 아름다운 벽화로 매력적인 관광지로 탈바꿈했다는 기사를 본 기억이 있다. 마을의 특성을 잘 살려 집시의 풍요로운 문화를 반영한 작품이라고 했는데, 그래서인지
집시들이 입고 다니는 의상처럼 밝고 과감한 색조합이 인상적이라 가보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그런데 <미술마을 인문여행>을
읽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문화 새마을 운동’이라고 할 수 있는 ‘마을미술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렇게 마을이 갖고 있는 고유한
매력을 벽화와 설치미술등으로 시각화시킨 10개의 마을, 부산
감천문화마을, 화순 성안마을, 영월 아트미로, 영천 별별미술마을, 서귀포 유토피아로, 음성 동요마을, 남원 혼불마을, 정선
그림바위마을, 함창 금상첨화, 안동 벽화마을을 만날 수 있었다.
사람들과 어우러져 어느새 그 곳의 일부가 되어가고 있는 미술과 마을을 임종업은 글로 박홍순은 사진으로 우리에게
소개해준다. 그리고 여행을 할때면, 여행자가 아닌 그 곳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되어보라고 이야기한다. 그러면 미술마을이 단순한 볼거리가 아닌, 함께 호흡하고 어우러져 생각할 수 있는 곳이 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작품과 마을과 사람이 함께하며 의미를 만들어내고 있기에 그런 마음가짐이 더욱 필요할 것이다.
부산의 감천문화마을에는 독특한 풍경이 있다. 한 집인데도 불구하고
창문을 경계로 다른 색이 칠해져 있는 것이 이상했던 작가 전미경은 페인트 한 통을 사서 남는 것을 이웃에게 넘겨주면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그 풍경속에
스며들어 이제는 마을주민이 되어 있었다. 문병탁의 ‘감천과
하나되기’처럼 말이다. 그리고 감천문화마을의 독특한 풍경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고나니, 문병탁의 작품도 또 다른 느낌으로 다가오기도 했다.
또한 음성 동요마을에서 동요 ‘퐁당퐁당’의 제목을 가진 작품도 기억에 남는다. 동요의 가사를 그대로 그려낸
것이 아니라, 소녀가 그 때의 추억을 떠올리는 듯한 느낌을 주는 것이 더욱 마을과 어우러지는 느낌이
들었다. 그 곳에 간다면, 소녀가 바라보고 있는 풍경이 어떤
것인지 꼭 보고 싶어지기도 한다. 누군가에게는 삶의 터전으로 그리고 또 누군가에게는 관광지로 자리잡은
제주도 서귀포에 설치되어 있는 전종철의 ‘경계선 사이에서’도
직접 걸어보고 싶어진다. 아빠가 정말 좋아하시는 ‘혼불’의 배경지인 매안마을을 아빠와 함께 걸어보고 싶기도 하다. 사실 소개된
모든 곳을 직접 가보고 싶게 만드는 그런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