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 땅의 다리 산책
이종근 지음 / 채륜서 / 2015년 10월
평점 :
금수강산이라 불리는 우리나라의 산하에 자리잡고 있는 다리를 만날 수 있는
<이 땅의 다리 산책> “징검징검 건넙니다”라는
말이 너무나 잘 어울리는 ‘섬진강의 징검다리’와 사람들이
소나무와 진흙으로 만들어낸 전통 섶다리와 안타까운 이별의 전설이 어우러진 ‘정선 섶다리’ 그리고 유려한 곡선이 푸르른 바다와 어우러진 ‘삼천포대교’도, 정말 다양한 다리와 그 속에 담겨 있는 이야기를 만날 수 있었다. 특히나 아름다운 다리를 감수성 짙은 서정시처럼 읽어주는 작가 이종근의 필력덕분에, 너무나 행복한 시간을 함께할 수 있었다.
예뻐하는 동생이 정읍에 살고 있어서, 내장산 단풍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들었었다. 그래서 내장산에 자리잡고 있다는 우화정羽化亭의 사진을 보여주니 단박에 비가 많이 오면
정자만 동동 떠있다라고 말해주었다. 아니나 다를까, 이 책의
저자도 비가 많이 와서 징검다리를 걸을 수 없었던 때의 추억도 말해주고 있었다. 비가오면 호젓하게 사람들의
발길을 피해 쉬어가는 정자라, 심지어 신선이 정자에 서있을 때 날개가 돋아 승천을 하여, 우화정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니 신기했다. 비가 올 때면 신선이
잠시 내려오는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고 말이다.
나름 익숙한 곳이라고 생각해온 불국사에 자리잡은 다리에 대한 이야기도 참 좋았다. 문화유산을 보러 다니는 것을 좋아해서 불국사는 꽤 가보았는데도 다리에는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았던거 같아 더욱
그러하다. 극락전으로 향하는 길에 자리잡은 ‘칠보교’와 ‘연화교’가 특히 기억에
남는다. 극락세계는 7가지 보물로 만들어져 있고, 연꽃으로 된 꽃 비가 내린다는 것에 착안하여 만들어진 다리였던 것이다. 지금은
오랜 세월 이어진 사람의 발길로 조각이 희미해져 다리를 직접 걸어볼 수 없다니 아쉬울 따름이다. 좀더
생생한 재미를 준다며 3D나 4D를 효과를 활용하기도 하지만
말이다. 이렇게 잘 계산된 사찰의 이야기를 읽으며, 사람들이
자신의 상상력을 마음껏 발휘해볼 수 있는 즐거움을 주지 않을까 싶은 생각을 하기도 했다.